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서울시 환경상 최우수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분야에서 최우수상을 받았지요.지구사랑탐사대는 2012년부터 어린이과학동아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팀이 함께한 시민과학 프로젝트예요. 300회 이상의 생태 현장교육에 총 1만여 명의 시민들이 참여해 7만 4000여 건의 탐사자료를 쌓았어요. 시민들이 생태학자로부터 생물 종별로 ... ...
-
- 산타의 픽! 자율주행차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AI.로봇공학과 교수), 정윤석(서울시 도시교통실 교통기획관), 황성호(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황재원(한국타이어 선임 연구원), 아이캔, MDE, 한국타이어, ...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말했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_INTERVIEW 황성호(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은 어떻게 판단을 내리도록 설정해야 할까요?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운전하려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사람처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 필수적으로 적용돼야 할 ...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더 많은 빛을 흡수해 전기에너지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11월 4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재료공학과의 허시민 교수팀은 굴광성을 띤 최초의 인공물질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이 인공물질에는 태양을 뜻하는 ‘Sun(선)’에 로봇의 ‘Bot(봇)’을 따 ‘선봇’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선봇은 ... ...
-
- [핫이슈] 미래의 과학자를 꿈꾼다, 메이커 페어 타이베이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타이베이 2019 일정을 모두 마친 친구들은 다양한 과학 체험도 했어요. 대만 명지과학기술대학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연구소를 찾아 연구자를 직접 만나기도 했지요.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물질로, TV나 휴대전화 등의 화면을 만드는 데 주로 사용돼요. OLED 장치는 ... ...
-
- [과학뉴스] 뽀글뽀글, 합성가스 만들어내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0월 21일,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어윈 라이스너 교수팀이 합성가스(Syngas)를 만들어내는 인공 나뭇잎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합성가스는 메탄올이나 암모니아 등의 원료가 되는 가스로, 주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섞은 혼합물로 만들어요. 플라스틱이나 비료 등 일상생활에 흔히 쓰이는 것들을 ...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환자가 입고 있는 로봇의 팔다리를 움직이게 하는 데 성공했어요. 또, 지난 2월 한양대학교 임창환 교수팀은 의식은 있지만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완전감금증후군 환자와 의사소통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지요.연구팀은 뇌파 분석에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했어요. 먼저 환자 두피에 19개의 전극을 ... ...
-
- [과학뉴스] 고래상어 입 속에서 신종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0월 25일, 일본 히로시마대학교 도미카와 고 교수팀은 오키나와현 모토부 지역 바다에서 신종 옆새우를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그것도 고래상어의 입속에서 말이에요! 먼저 연구팀은 고래상어의 입속 아가미에서 약 5mm 길이의 옆새우를 발견했어요. 관찰기간 동안에도 번식을 하며 개체수를 늘리는 ... ...
-
- [과학뉴스] 눈 깜빡할 새 벌레 잡는 카멜레온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0월 25일, 미국 퍼듀대학교 람세스 마티네스 교수팀이 카멜레온의 혀처럼 순식간에 벌레를 잡을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로봇은 고무처럼 탄성력을 갖고 있는 폴리머 소재로 만들어진 소프트 로봇이에요. 원래 길이의 5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 되는 것까지 ... ...
-
- [통합과학교과서] 범인은 바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거예요. 이를 ‘보라색 지구 가설’이라 불러요.보라색 지구 가설은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미생물학과 면역학부의 실라디티야 다사르마 교수가 처음 주장했어요. 그는 지구의 생성 초기에 번성한 고세균*의 일종인 ‘호염성 고세균’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어요. 호염성 고세균은 바닷물보다 10배나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