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달
미친 짓
기행
비행
입항
d라이브러리
"
도착
"(으)로 총 2,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밀도조사에 관한 것과 새사진 찍는 법, 쌍안경 활용법 등.25일 아침 일찍 주남저수지에
도착
한 탐사대는 이미 탐사활동을 벌이던 경희대 생물학과 팀과 만나, 장비와 전문지도인력을 보강한 후 곧바로 탐사에 들어갔다. 필드스코프(네대)를 중심으로 팀을 짜고 각팀에 지도교사(여기서는 경희대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수 있는 프로그래밍언어 베이식을 완성했고, 달착륙선이 연료가 떨어지기 전에 달에
도착
하는 컴퓨터 게임을 알태어에서 실행시켰다.이는 최초의 퍼스널컴퓨터가 형성되는 시간이었고 달착륙게임은 그 첫번째 소프트웨어가 된다. 두달후인 75년 여름 베이식의 판매를 주로하는 마이크로소프트사가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천병두 박사(전 KIST 소장, 83년 작고, 금속공학) 등이 있어 나를 반갑게 맞아주었다.
도착
한 다음날 저녁을 먹은 후 이태규 박사가 내게 "이제 가 보시지요" 하는 것이었다. "아니 어디로 가자는 겁니까?" 하고 물으니 "박사님께서는 밤에 연구하는 것을 좋아하신다면서요. 해서 제가 연구원들에게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판단된 전직 경찰관 팻프라이스(Pat Price)였는데, 놀랍게도 그는 실험자가 최종 기착지에
도착
하기 20분 전에 그들이 보게 될 장소의 풍경을 말했다.퍼토프 박사와 타그 박사를 주축으로 한 스탠퍼드 연구소의 ESP 연구팀은 약 10년에 걸쳐서 초감각지각을 연구했다. 그 중에서 주목할만한 실험은 6만㎞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보이기 시작했다. 이 고봉들은 한결같이 2천m가 넘는 높이다. 파이네국립공원의 입구에
도착
하니 청년들이 여기저기서 배낭을 벗어두고 쉬는 모습이 눈에 띈다. 공원 안으로 들어서면 좌우로 크고 작은 호수들이 나타나고, 그 주위를 단층과 습곡으로 이뤄진 지층들의 신비로운 구조가 눈을 ... ...
물고기 생태 이용해 활어회 즐긴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가사상태에 빠지면 물을 전부 버리고 튜브에 옮겨 비행기편에 싣고 간다.목적지에
도착
한 물고기들은 상온의 바닷물 속에 던져지면 수분내에 지느러미를 움직이며 활동적으로 소생하는데, 재미있는 것은 이때 빨리 깨어나지 못한 물고기들은 물에 빠져 죽기도 한다는 것이다.일본 남쪽 끝 도시인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의한 더운 물의 이동은 만일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이 없었더라면 남아메리카 해안에
도착
하기 전에 거의 소멸돼 버릴 것이다.그러나 더운 물이 적도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대류운의 활동도 함께 활발해지게 되므로 켈빈파는 더욱 강화된다. 이러한 적도 태평양의 더운 해수와 대류요란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때문에 탐사일정을 2주나 미룬 것이 '오히려 더 잘된 일이 됐다'고 탐사단은 입을 모았다.
도착
다음날 아침 7시부터 시작된 첫날의 탐사코스는 성인봉 등정을 포함한 강행군. 탐사단은 먼저 저동에서 섬목까지 배로 이동해 섬 북쪽사면 관찰에 들어갔다.행정구역상 북면으로 불리는 섬목~천부동 ... ...
모습드러낸 태양의 대기 코로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4시30분 선착장으로 나갔다. 여전히 하늘은 찌푸려있어 불길한 생각이 들었으나 선착장에
도착
하니 벌써 많은 관광객들이 진을 치고 있었다.우리는 깊숙이 자리를 잡고서 빅센 SP적도의를 조립하고 주축을 맞추고자 했지만 북극성이 구름에 가려 보이질 않아 감으로 자동가이드 할 수 있는 상태를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의 돌파구는 '우주로의 이동'이다. 그 첫번째
도착
지가 달이 될 것은 너무나도 분명하다.현재 우주개발의 최대 난점은 개발비용이다. 그중에서도 두꺼운 지구대기를 뚫고 물자와 인력을 우주공간으로 보내기 위한 로켓연료비용이 엄청나게 소요된다. 한편에서는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