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구
문짝
출입문
도어
게이트
현관
출입구
d라이브러리
"
문
"(으)로 총 2,311건 검색되었습니다.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다른 유전자로 전환돼야 한다. 그런데 유전자가 생명현상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
문
에 이러한 유전자의 기능변화는 생명체에 치명적일 것이다. 이러한 딜레마는 유전자가 두개 이상 중복됐을 때 하나의 유전자는 원래의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중복된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와 함께 현재 서구의 정통 과학소설이 미래사에 대한 철학적 관점을 결여하고 있는
문
제점 또한 정확하게 짚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만 우리의 과학소설이 설 수 있다고 생각한다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잠식당할까 우려 된다고도 했다. 결국 통신회사나 사용자들 모두가 함께 고민해야할
문
제라는 것이다.시솝통신망의 운영자(SYSOP, SYStem OPerator)를 말한다.이 글에서는 통신동호회를 처음 만들고 그 모임을 운영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시솝은 게시판에 올라오는 모든 정보를 읽고 그것을 필요로 하는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백색연소가 발생했다. 그 원인은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석유계 연료소비량의 증가 때
문
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 L. A. 시민들은 눈 코 기도 폐 등의 점막에서 지속적인 반복성 자극을 느꼈으며 과일과 식물에도 피해가 심했다.6. ④ 아주 미량으로도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는 물질이 많다. 예컨대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작년 10월9일 대덕연구단지내에 새로
문
을 연 국립중앙과학관이 상시(常時)과학행사를 꾸준히 개최해 지역주민의 살아있는 과학교실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간 국립과 ... 관람과 강연회 참여를 겸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알아보려면 국립과학관 조성과로
문
의하면 된다. (042)861-2526, 254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부른다. 그러나 서로 무관하게 떨어져 있으면서 단순히 같은 시선 위에 놓여 있기 때
문
에 이중성으로 보이는 것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별을 따로 광학적 이중성(혹은 안시 이중성)이라고 부른다. 이중성 중에서 밝은 쪽 별이 주성, 어두운 쪽이 반성(동반성)이다. 동반성이 두 개 이상인 별은 삼중성, ... ...
벽지 어린이들에게 과학의 꿈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설명하는 실험과 '냉장고
문
을 열어놓으면 방안의 온도는 올라갈까 내려갈까'등의
문
제를 통해 상식과는 다른 과학법칙을 소개했다.4부 순서에서는 과학영화를 상영한 뒤, 별을 보고 농사일정을 잡았던 조상의 슬기를 되살리며 학부모와 학생들이 함께 4월의 별자리를 관측했다.이날 행사를 이끈 이 ... ...
21세기 우주수송수단은 어떤 모습?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자존심을 유지해야 하기 때
문
이다.백악관에서는 작년 가을 자
문
기관인 우주장기계획 자
문
위원회가 보고서를 내고 새로운 우주수송수단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차 단계로 올 상반기내에 '챌린저의 대역'으로 성능을 한단계 향상시킨 엔데버(Endeavor)를 제작완료하고 내년 초에 발사할 계획이다. ... ...
2. 바다는 지구 생물의 80%가 사는 거대한 수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화학 생물 지질 환경 등 여러 분야의 조사를 동시에 할 수 있게 건조된 조사선으로 전
문
적인 조사선들보다 규모가 크다. 따라서 이 조사선은 각국의 국립해양연구기관이나 대학에서 운영하면서 국책연구나 정밀조사에 폭넓게 이용된다.우리나라의 경우 한국해양연구소가 보유한 반월호(80t급)와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교육계와 연구기관이 인력포화상태를 보이고 있고 산업계의 유치열기도 다소 식었기 때
문
이다. 학위과정을 거치면서 창조성과 협력심을 잃고 적응력만 키웠다는 것이 KAIST 출신 배척의 변이다.아무튼 과학영재를 잘 가꾸고 키워야 국가가 발전할 수 있다는 데는 이론이 없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