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악
언덕
마운트
혼란
산란
해산
파산
d라이브러리
"
산
"(으)로 총 3,034건 검색되었습니다.
UFO목격담 연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공군중령이 초등비행훈련을 지휘하며 프로펠러기를 몰고 1.5km고도를 유지한채 계룡
산
방향으로 비행중 지상 3백m 높이에서 팽이 모양의 직경 4m가량의 UFO목격.속도가 음속의 7배 이상이었다고함.2000년미국 애리조나주의 한 야구 경기장에서 야구선수 김병현의 CF촬영중 자유자재로 비행하는 UFO가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생각한다.수몰로부터 위협받는 국내 암각화암각화 유적은 대부분 강변이나 야
산
처럼 사람들이 쉽게 갈 수 있는 곳에 위치하므로 인위적인 파손이 쉽기 때문에 보존에 특히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댐의 건설과 같은 국토개발에 의한 파손도 상당히 많다. 이미 우리나라 최대의 암각화 ... ...
인류 우주관의 혁명가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윌슨
산
천문대의 1백인치 망원경을 통해 관측(사진)했고,업적을 인정받아 팔로마
산
천문대에 설치한 2백인치 망원경을 처음 사용할 수 있는 영예를 누렸다.오늘날에는 허블의 업적을 기리고 그가 했던 작업(우주지도 작성과 허블상수 발견)을 지속하기 위해 허블우주망원경이 지구 위를 돌고 있다 ... ...
3. 황금종 개구리가 이끈 환경올림픽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않았다.호주는 풍요로운 나라이다.낮은 물가와 높은 경제성장률,그리고 건전한 흑자예
산
등이 호주의 경제적 풍요를 지켜주고 있다.게다가 시드니는 넓은 면적에 비해 4백만명밖에 안되는 인구를 갖고 있어 더욱 풍요롭고 넉넉해 보인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드니가 위치한 뉴사우스웨일스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나타날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의 예언은 묵살됐으나, 1년 뒤 프랑스의 르베리에가 같은 계
산
결과를 얻자 베를린 천문대에 연락해서 해왕성이 발견됐다. 이번 가을에도 염소자리에서 천왕성과 해왕성을 볼 수 있다.또한 ‘남회귀선’(Tropic of Capricorn: 염소자리의 회귀선)에는 염소자리의 명칭이 ... ...
예측불허 주가에 숨겨진 질서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수학적인 모델과 데이터 분석은 금융공학에서 중요한 연구분야가 됐다.따라서 복잡한 계
산
과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면 이골이 난 물리학자들이 앞으로 실물시장연구에 더욱 활발히 참여하게 되리라 예상된다.그러나 물리학자의 증권가 진출에 대한 경제학자의 눈초리가 곱지만은 않다.경제학자는 ... ...
망원경으로 진짜 우주를 관측하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당시 알려진 지구의 가장 높은
산
보다 더 높았다. 지구보다 훨씬 더 작은 달이 더 높은
산
을 지니고 있다니 놀라움은 더해갔다. 또한 망원경으로 자세히 관찰함으로써 초승달이나 그믐달일 때 달의 어두운 부분이 희미하게 보이는 것(지구조)에 대한 설명도 할 수 있게 됐다. 그것은 달 스스로 만든 ... ...
뱀·거미·탱크로 변신하는 전천후 로봇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사이에서 태어나 동부의 매릴랜드에서 자랐다. 아버지는 응용수학자였고, 어머니는 부동
산
중개업을 했다. 아버지는 매릴랜드의 해군함정연구개발센터에서 마찰이 적은 배의 앞부분을 디자인하는 일을 했고, 특수한 고속 프로펠러도 개발했다.“어렸을 적 부모가 집에서도 영어를 쓰게 했다.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쌓은 사이기 때문.김 대통령은 그를 접견하는 자리에서 “93년 케임브리지에서 이웃해
산
적이 있는데 오늘 다시 만나게 돼 영광”이라면서 “우리나라에는 이웃사촌이라는 말이 있다”고 친근감을 전했다. 이에 대해 호킹 교수는 “김 대통령이 평화를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는데 대해 경의를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하필 커보이는가. 특히 티체너 착시는 비교되는 물체가 작아야 커보인다. 그런데 주변
산
이나 건물은 겉보기에 달보다 훨씬 더 커보이기 때문에 오히려 지평선의 달이 중천의 달보다 작아보여야 하지 않을까. 따라서 좀더 구체적으로 따져 물으면 얼버무리는 수밖에 없었다.맨눈과 망원경의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