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진화를 거쳐 발전해왔다. 그 때문에 무척 견고하고 안정적인 형태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생명현상을 잘 들여다 보면 그 안에서 의외의 ... 보시려면?Intro. 국회의원 인맥 찾아내는 소셜 사이언스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반면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mRNA와 상보적인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다. 그 결과 숙주
세포
에서 복제하는 메커니즘이 많이 다르다.[구제역바이러스-지름이 30nm에 불과한 작고 단순한 바이러스로 캡시드(껍질)단백질 240개가 RNA게놈을 감싸고 있다. 캡시드단백질은 VP1, VP2, VP3, VP4 네 가지가 각각 60개씩 ... ...
콜레라균 잡아내는 특별한 설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발견했다.콜레라균은 몸속에 들어오면 단백질 독소를 만드는데, 이 단백질 독소는
세포
표면에 있는 ‘GM1’이라는 당지질을 수용체로 삼아 결합한다. 덱스트란이 GM1과 같은 작용을 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 원인을 “GM1에 있는 탄화수소 결합과 덱스트란의 생김새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 ...
4000년 전 멸종한 매머드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박사팀은 러시아 과학자들이 보관하고 있는 매머드 조직에서 비교적 보존이 잘 된
세포
핵을 골라 추출한 후 아프리카코끼리(Loxodonta africana)의 난자에 심어 아기 매머드의 배아를 얻을 계획이다. 그 후 일본 킨키대 미노루 미야시타 교수팀이 배아를 아프리카 코끼리 자궁에 착상시켜 매머드를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내로 들어가는 단백질이라 바이오마커로 쓸 수 없다. 바이오마커로 쓸 수 있는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것이어야 한다. 병원에서는 혈액이나 소변 시료를 이용해 단백질을 검출하기 때문이다. 이 단백질을 찾으면 연골이 망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억제제를 쓸 수 있어 통증을 느낄 만큼 병이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다양한 기능을 한다. 인은 생명체의 설계도인 DNA의 기본 성분이며, 지질과 결합해
세포
막을 이룬다. 또한 생명체의 주된 에너지원인 아데노신3인산(ATP)도 인을 사용한다. NASA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모든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인을 비롯한 6대 원소가 있어야 한다는 기본 원리가 깨진 셈이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연구가 질병 연구에 새로운 단서를 제공해 줄 것”이라고 밝혔다.김 교수는 지난 2003년
세포
안에서 마이크로RNA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밝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긴 RNA를 잘라 마이크로RNA를 만드는 효소인 ‘드로샤’를 발견한 것이다. 2009년에는 miR-29가 암 억제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는 내용을 ... ...
한반도의 수질오염을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물고기 알 등 수생생물을 이용하며, 사람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할 때는 사람의
세포
를 쓰기도 한다. [➊ 한 연구원이 실험에 열중해 있다. 이곳의 연구원들은 여러 하천에서 수집한 물에 어떤 오염물질이 들어 있는지를 조사한다.] [➋ 산업이 발달할수록 잠재 유해물질의 종류가 ... ...
다
세포
생물 키운 건 고농도 산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표면뿐 아니라 속까지 도달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산소가 풍부해지자 일부 단
세포
생물들은 산화반응으로 에너지를 만드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전자전달계나 크렙스 회로 같은 대사경로를 개발한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유럽 분자생물학회 학술지(EMBO Reports) ... ...
벼 병충해 막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식물의 영양분을 빼앗는 통로를 만들도록 식물
세포
에 직접 활성 단백질을 주사해
세포
밖으로 영양분이 쏟아져 나오도록 만든다”며 “이 단백질에 스위트(SWEET)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설명했다.첸 연구원은 “지금까지 식물 병리 연구는 뿌리를 통해 감염되는 세균을 막는 것에 치중해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