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기업 탐방] 세상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 온라인에서 쉽게 풀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수억 원에 달한다. 설치형이라 아무데서나 사용하지도 못한다. 초보자나 규모가 작은 기업에서는 엄두를 내지 못한다.언제 어디서나 쉽고 저렴하게!그런데 최근 국내 기업인 셈웨어가 인터넷에 접속만 하면 누구나 쉽게 미분방정식을 풀 수 있는 웹 사이트를 개발해 선보였다. 바로 매스프리온이다. ... ...
- [과학뉴스] 새로운 족보를 갖게 된 공룡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용반목의 수각류 공룡과 조반목 공룡이 독특한 아래턱뼈와 발뼈는 물론 다른 공룡보다 작은 앞니, 어금니처럼 규칙적으로 놓인 치아 등 21가지의 해부학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지요.즉, 티라노사우루스가 브론토사우루스보다 트리케라톱스나 스테고사우루스와 더 가까운 관계라는 ... ...
- Part 2. 저렴하게 에너지와 물을 만들어 드립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전세계 15억 명은 여전히 조명 기구 없이 생활하고 있어요. 어둠 속에서 밤을 보내거나 작은 양초, 등유 램프 같은 약한 불빛에 의지하지요. 하지만 이런 빛으로는 집안일이나 공부를 하기가 어려워요. 이보다 사정이 나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발전하는 산업에 비해 전력양이 부족해 걸핏하면 전기가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삐삐삐삐-. 드디어 경주용 자동차들이 출발합니다!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 참가한 여섯 팀 중 어떤 팀의 자동차가 1위를 차지하게 될까요. 아~! 말씀드린 순간 미국과 오스트리아 연합 나노프릭스팀의 자동차가 시속 34.5nm의 속도로 재빠르게 달리기 시작합니다! 2017 나노카 레이스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아끼는 것처럼 보였다.“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봐요.”“간단히 말해서 항성이 아주 작은 폭발을 일으키는 걸 말합니다. 슈퍼 노바 정도는 아니지만 플레어보다는 훨씬 강한 폭발이죠. 지구에서 관측된 바는 없고 바루나 호에서만 관측됐어요. 그래서 잘 알려진 현상은 아니죠.”뎀베도 처음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다른 래퍼들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확실히 알린다.래퍼들은 방송에 출연하기보다 주로 작은 클럽과 공연장에서 활동하고, 이것을 특유의 문화로 생각하기 때문에 쇼미더머니를 부정적으로 보기도 했다. 하지만 국내 1세대 래퍼이자 프로듀서로 참가한 타이거JK는 “처음엔 쇼미더머니를 좋아하지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정보를 조작하는 데에 더 많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현재 비트코인 조작은 수학적으로 절대 불가능하다. 이를 ‘비잔티움 장군 문제 허용’이라고 한다(위 그림).블록체인 법제화 미흡, 사회적 합의가 필요해이를 선거에 적용해보자. 이 시스템은 마치, 유권자들에게 일정 금액의 ... ...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계산한 값이랍니다. 방사형 도로의 거리를 ‘카를스루에 거리’라고 합니다. 독일의 작은 도시이자 방사형 모양으로 생긴 카를스루에의 이름을 따왔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Part 1. 뻥뻥 뚫리는 도로 깔기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BREAK TIME. 우리 동네 ... ...
- [Infographic] 인체의 지지자 뼈는 왜 강한가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껍질처럼 치밀뼈의 표면을 덮고 있고, 치밀뼈는 뼈에 강인함을 제공한다.치밀뼈 밑에는 작은 뼈기둥들이 스펀지처럼 엉성하게 모여 있는 해면뼈 조직이 있어서 뼈의 전체적인 무게를 줄여 준다.갈비뼈, 복장뼈(흉골), 어깨뼈, 골반뼈 등의 특정 뼈에 있는 골수는 중요한 기능이 하나 있는데, 새로운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분으로 줄어들었다.김 교수와 임 연구원은 앞으로 이 진단 기술을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장치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나아가 칩 하나로 개별 세포의 구성 물질들을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는 기술까지 개발하는 것을 꿈꾸고 있다.교수와 대학원생은 사제관계이면서 동시에 함께 연구 결과를 ... ...
이전2032042052062072082092102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