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빨리, 더 크게, 더 높이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잠시 쳐다보기만 했을 뿐인 비전문가 찰스가 혼자 6주 만에 말이죠.[1903년 라이트 형제의
최초
동력 비행] 라이트 형제의 성공시대당시 라이트 형제만 동력 비행을 연구한 건 아닙니다. 스미스소니언협회, 미국 육군 등 쟁쟁한 기관이 연구했지만 실패했죠. 불가능하다고 여겨질 정도였습니다. ... ...
사람의 스토리로 공감대 만들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최초
의 우주인으로 활약한 이소연 박사를 예로 들어 봅시다. ‘이소연 박사가 한국인
최초
로 우주인이 돼 각종 임무를 무사히 마치고 돌아왔다’와 ‘죽을 고비를 몇 번 넘기며 우주인이 돼…강도 높은 훈련에도 불구하고 우주에서의 무중력 상태는 견디기 쉽지 않았다’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CINEMA)’를 개발하고 올해 발사할 계획이다. 시네마가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 우리나라
최초
의 큐브샛이 될 전망이다. 시네마의 미국 개발 현장 이야기는 2파트에서 볼 수 있다.일본이 지난해 주최한 큐브샛 경진대회에서 톱10에 오른 국내 연구진도 주목받을 만하다.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 ...
칩 안의 약국, 몸 속에서
최초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손톱만 한 크기의 생체칩에 약물을 넣어 원격조종으로 시간에 맞춰 약물을 제공하는 실험이 처음으로 성공했다.]시간마다 약을 챙겨 먹거나 주사를 맞지 않아도 되는 미래가 올까. 몸속에서 알아서 척척 약물을 제공한다면 가능하다.미국 과학자들이 원격조종이 가능한 마이크로 생체칩을 사람에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전혀 다른 전략을 개발했습니다. 바로 ‘새끼 키우기’에 공을 들이는 방법입니다.
최초
로 두 발로 걸은 인류를 생각해 봅시다. 여성이 임신 혹은 수유 중일 때는 이동이 쉽지 않습니다. 이들은 좁은 지역을 돌며 식물성 먹거리를 수집했습니다. 반면 남자들은 넓은 지역을 돌아 다니면서 동물성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일본 이화학연구소에 있는 K컴퓨터로, 초당 연산 속도가 1경 회에 달한다. 세계
최초
로 1경 고지를 넘어선 슈퍼컴퓨터다. 그러나 아무리 강력한 슈퍼컴퓨터도 뇌와 근본적인 구조가 달라 뇌처럼 작동할 수 없다.그 대신 과학자들은 슈퍼컴퓨터의 막강한 계산 능력을 이용해 뇌를 시뮬레이션하려고 ... ...
살아 있는 화석으로 광합성의 기원 찾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떻게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됐을까. 지구에 나타난
최초
의 독립영양생명체는 시아노박테리아(광합성을 하는 단세포세균)다. 약 35억 년 전 원시 지구에는 산소가 희박했는데,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하며 산소를 방출했다. 결국 대기에 산소가 풍부해지면서 물속에만 살았던 생물이 육지로 ... ...
물리학자는 왜 종이를 구길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995년 12월 1일자 과학지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구겨진 종이를 수학적으로 풀어보려는
최초
의 시도였다. 그로부터 15년이 넘었지만 물리학자들은 여전히 구겨진 종이를 완벽하게 수학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힘 센 장사나 10살 소녀나 구기는 힘은 거기서 거기롭코브스키는 1996년 박사 학위를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세대가 짧아 연구시간을 줄일 수 있지요. 또 게놈도 2배체입니다.지난 2010년 양서류로는
최초
로 개구리의 게놈이 해독됐는데 바로 서부발톱 개구리였죠. 분석 결과 단백질을 지정한 유전자가 2만 개가 좀 넘어 사람과 비슷했답니다. 또 사람의 질병 유전자에 해당하는 유전자가 최소한 1700개가 있다는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하는데 이를 치료하기 위해 남성호르몬을 주사하기도 한다. 샤르 에두아르는 이 방법을
최초
로 시도한 과학자다. 그는 나이가 들면서 정력이 감퇴하는 이유가 부분적으로 고환의 기능이 약해져서라고 믿었다. 어린 나이에 거세한 내시나 자주 자위행위를 하는 사람에게도 같은 증상이 나타났기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