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5,1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05
떨어져있는 마리안소만. 여름이면 집채만한 빙벽이 무너져 내린다. 실제로 1956년 12월
이후
마리안소만의 빙벽은 꾸준히 줄어 현재 1km정도 후퇴한 상태다.※얼음 용어 정리•빙하(glacier): 대륙에 쌓인 눈이 오랫동안 다져져 만들어진 얼음층으로 고도가 낮은 곳으로 흘러내린다.•빙상(ice sheet): ... ...
배아복제 연구 시작해도 되나?
과학동아
l
200705
주별로 다르지만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연구는 제한적으로 허용된다.미국 : 2001년 8월
이후
줄기세포 연구에 연방기금 지원 금지. 사설 기금 지원은 계속 진행.브라질 : 2005년 3월 시험관 수정에 사용되고 남은 배아 중 3년 이상 냉동 보관된 배아를 이용한 줄기세포 연구 허용. 배아복제 금지.스위스 : 2 ... ...
3. 역사 속의 그녀들
과학동아
l
200705
우리 사회의 시각에서 비롯된다.2차대전 뒤 여성이 과학 분야로 활발히 진출하면서 퀴리
이후
노벨상을 수상한 여성과학자도 하나둘씩 늘어갔다. 여성 역시 남성과 동일한 과학적 능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는 현상이었다. 더 나아가 여성과학자들은 남성 중심의 편향된 과학 이론을 바로잡기도 ... ...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05
조화롭게 살아가고 있어서 논의에서 제외된 것 아닐까’ 하는 기대를 해본다.인류 시대
이후
의 미래 동물 이야기두걸 딕슨 지음 |이한음 옮김 (승산, 240쪽, 1만 5000원)두걸 딕슨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세인트앤드루스대에서 지질학과 고생물학을 전공했다. 지구과학과 진화에 대한 글을 많이 썼고 ... ...
PC자리 넘보는 3세대 휴대전화
과학동아
l
200704
특징은 지금보다 데이터 속도가 더욱 빨라진다는 점이다. 수년 내에 100메가를 넘어서고
이후
기가급 속도로 빨라질 것이다. 그렇게 되면 무선전화가 유선전화를 대체한 것처럼 무선인터넷이 유선인터넷을 대체할 수 있다.게다가 컴퓨터 부품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휴대전화의 성능이 획기적으로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04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은 탓이다. 따라서 급속하게 골밀도가 줄어드는 50대
이후
에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는 편이 좋다. 골밀도 검사는 방사선으로 뼈를 단층촬영해 뼛속에 칼슘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측정한다.결과는‘티-스코어’(T-score)라는 숫자로 나타낸다. 티-스코어가 0이면 ... ...
광우병, '뼛조각'만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704
내렸다. 동물성 사료는 소뼈나 내장, 개, 돼지, 고양이 등의 사체를 가공해 만든다.
이후
영국은 1988년부터 소와 같은 초식동물의 먹이로 동물성 사료를 금지했다.미국도 1997년 같은 법안을 제정했다. 그렇다면 2003년 미국에서 광우병 소가 나타난 이유는 뭘까.세포학과 분자생물학을 연구해 온 콤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04
별자리 천구를, 그리고 맨 위층에는 혼천의를 설치했다.중국에서는 원나라때
이후
혼천의와 시계장치가 결합된 혼천시계가더이상 발전하지 못했다. 대신 혼천시계를 지속적으로 연구한 이들은 조선인들이었다.물시계에서 자명종까지 결합세종 때의 자격루는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시간을 ... ...
금광에 사는 황금박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
이 곳을 찾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황금박쥐를 보호하기 위해 겨울잠이 끝나는 5월
이후
붕괴 위험이 있는 동굴 안쪽을 보강하고 사람들의 접근을 막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
것을 경험했다. 특히 이번 지진은 1978년 10월 충청남도 홍성에서 일어난 규모 5.0의 지진
이후
땅에서 일어난 지진으로는 29년 만에 가장 셌다.한반도에서 지진은 갈수록 자주 일어나고 있다. 지난해에만 50건의 지진이 일어났다. 더 큰 문제는 아주 강한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