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빌딩
건축물
건조물
집
사옥
옥사
구조물
d라이브러리
"
건물
"(으)로 총 2,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것이 STM 동작의 가장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공기중의 소리나
건물
안에서 사람이 걸어다닐 때 발생하는 진동 등으로부터 현미경 장치를 차폐시키지 않으면 안된다.우리들이 만든 장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터널 현상을 일으키는 간극을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 ...
컴퓨터 경비 시스템 시공을 초월한 전자 전쟁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칼라모니터는 상황이 발생한 지점의 상세한 도면을 그래픽 처리하여 보여준다. 이층
건물
일 경우는 일층 이층을 각각 분리해서 평면도를 보여줄 수도 있고, 상점일 경우는 진열대나 창문의 위치 등을 나타냄과 동시에 실제 사고발생지점―왼쪽에서 두번째 창문―등의 상세한 도면이 칼라로 ... ...
생약연구의 본산, 유전공학연구까지 서울대 생약연구소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표본실을 안내하면서 지형준소장이 설명했다.4층
건물
연건평 8백여평의 연구소
건물
안에는 연구실 실험실 표본실 실험동물사육실등 50여개의 방이 있다.이곳에서 천연물화학연구부(부장 우원식박사), 생물활성연구부(부장 한병훈박사), 자원개발연구부(부장 김제훈박사), 기기분석실(실장 ... ...
소련 수소폭탄의 아버지 안드레이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참석하는 길이었다. 차가 레닌스키 프로스펙스지구로 들어와서 19세기식 아카데미
건물
쪽으로 접근하고 있을때 경찰 차가 가로막았다.모든 명예 빼앗긴채 추방이들은 사하로프를 곧장 모스크바 검찰청으로 호송했다. 검찰차장 ‘알렉산더 레쿤토프’는 사하로프에게 소련수상 레오니드 ... ...
지리도형정보관리시스템 컴퓨터에 의한 국토관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EMIS는 지도를 차례로 겹쳐서 보다 세밀한 지도를 구성하여
건물
시공장소의 선정이나 자원 평가 등에 응용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이같은 중첩방법은 토지용도나 구분 등의 변경사항을 쉽게 발견할 수 있게 해준다.예를들면 중첩에 의해 겹쳐진 다각형(Polygon)은 토지용도가 ... ...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진상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찢기면서 일어난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두번째는 수소의 폭팔로 로의
건물
지붕이 날아갔다. 흑연으로 된 로심은 공기에 노출되자 격렬하게 타기 시작했다. 이 지옥의 불길은 무서운 방사성 동위원소를 대기중으로 뿜어 냈으며 이것은 바람에 실려 수천마일 밖으로 날아 갔다. 이것은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이용자들에게 얼마나 정확한 역사적의미를 전달했느냐로 평가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은
건물
의 예술성못지않게 건축공학적인 기능성과 안전성도 심각히 고려되어야 한다. 예술성 못지않게 다수가 출입하는 건축물이므로 건축공학적 측면을 소홀히해서는 안되며 이에따라 자연히 재해예방 등 ... ...
화학물질의 중독, 폭발사고의 예방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것이다. 적정규모의 환기장치를 하는 것은 누출개스의 양과 질 그리고 공장이나 일반
건물
의 구조와 긴밀히 관련된다. 현재 개스사고의 위험이 있는곳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사고예방대책이 환기장치인바 환기장치를 할때에는 반드시 화학기술자나 설계전문가의 자문을 받아야한다. 여기에서 ... ...
문화재의과학 발굴·복원·연대측정의 방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이외에도 유물의 재질이나 출토상태에 따라 다양한 보존기술이 이용된다. 예를들어 목조
건물
이나 지류(紙類) 섬유질 문화재는 미생물이나 곤충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런 경우에 필요한 작업이 훈증법(燻蒸法)이다. 훈증법에는 피복훈증법 밀폐훈증법 포장훈증법 감압훈증법 등이 ... ...
한국의 MIT지향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힘들지만 이곳에 금년 말까지 교양학부동 도서관 연구동 교수 및 학생회관 기숙사 등 9개
건물
이 들어설 예정이다.포항공과대학이란 이름이 일반인에겐 아직 생소하다. 학교가 문을 열지 않아서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다는 지방에 대학이 선다는 사실이 그다지 큰 관심거리가 아니기 때문이다.그런데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