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원
부원
d라이브러리
"
내부사람
"(으)로 총 2,504건 검색되었습니다.
메모리,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386을 386답게, 486을 486답게 쓰는 방법은 무엇인가. 많은 메모리가 달린 PC를 샀다해도 그 관리법을 모르면 XT에 불과하다. 도스 매뉴얼에서도 가르쳐주지 않는 메모리 활용법을 알아본다.컴퓨터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컴퓨터의 유연성과 사용의 용이성 때문일 것이다. 컴퓨터는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상대성이론, 광양자가설 등으로 20세기 과학계를 대표하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그를 빼놓고는 현대물리학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아인슈타인의 존재는 크고도 뚜렷하다. 그에 얽힌 5가지 궁금한 점을 '과학 아사히'에서 전재한다.1. 어릴 때는 왜 열등생이었나아인슈타인(Einstein, Albert)은 1879년 3월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밤하늘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개성단인 프레세페에 접근하는 화성을 살펴보고, 망원경의 초점을 우리은하의 핵이라고 할 수 있는 처녀자리 은하단에 맞추어 보자.5월은 밤하늘을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갖춘 달중의 하나이다. 하늘은 자주 맑은 상태를 유지해주고 날씨도 어느 정도 따뜻해져 ... ...
PC 이상작동 응급처치 요령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컴퓨터는 좀처럼 실수를 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컴퓨터의 돌연한 이상으로 낭패를 겪는 일이 다반사다. 멀쩡하던 컴퓨터가 갑자기 '파업'을 선언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컴퓨터의 이상사태를 항목별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책을 알아본다.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가 고장났다고 판단하는 순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마이크로 머신은 기존 기계의 축소품이 아니다. 멋 모르고 그 세계에 들어갔다가는 낭패를 당하기 십상개미나 모기 크기 정도의 로봇이 있다고 생각해 보자. 더 나아가 세균만한 크기의 현미경적 로봇이나 분자(分子) 크기의 로봇을 상상해 보자.과연 로봇이란 느낌이 들겠는가. 로봇이 인간과 닮을 ... ...
2020 초고속항공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현재 서울에서 1만1천km 떨어진 뉴욕까지 논스톱 운항 중인 대한항공의 보잉 747 최신예 장거리여객기를 탈 경우 음속보다 약간 느린 마하 0.75로 날아도 약 16시간 걸린다. 이러한 장시간의 무착륙비행은 노약자는 물론 일반 사람들에게도 매우 피곤하고 지루한 여행이 아닐 수 없다. 만일 이 거리를 2, ... ...
고등 동물일수록 뇌의 휴식이 필요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중추신경계가 발달한 동물일수록 뇌를 휴식시키는 수면형태가 발달돼 있다.사람은 하루 보통 7, 8시간을 잔다. 요즘은 평균수명이 연장돼 70~80년을 산다고 하면 25년 가까이 잠을 자는 셈이다. 아까운 인생의 1/3을 잠으로 허비하는 것이다. 왜 인간은 25년씩 잠을 자지 않으면 안될까. 또한 사람이외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우리나라 숲정이에 커다란 변화가 일고 있다. 전통적인 가축식물인 대나무 상수리나무 소나무가 밀려나고 깡패식물인 아카시나무 리기다소나무가 주인 노릇을 하고 있다.전 국토의 67% 이상이 산지인 우리나라의 부락은 배산임수(背山臨水)형태로 발달해 왔다. 이것은 사람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의 ... ...
아주 높이 있는 먼지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먼지는 대단히 높은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먼지폭풍은 지구 뿐만이 아니라 화성도 휘젓는다. 인간은 그들의 발자국을 달의 먼지투성이인 표면에 남겼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지구 대기의 상부에 있는 먼지다. 대기의 여러 층중에서 가장 안정된 층은 성층권인데 이는 지구 위 10㎞에서 시작하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광학계나 가대가 단단하다고 천체 관측이 100%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기의 상태나 부가장치에 따라 천차만별의 관측 결과가 나타난다.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천체망원경은 컴퓨터와 함께 가지고 싶은 것 순위의 상위를 항상 지키고 있다고 한다.사람들은 누구나 밤하늘을 수놓고 있는 수많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