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일"(으)로 총 8,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 우리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으로 매일 기록하고 있는 모든 정보는 빠르게,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가 되고 있다. 또 그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빅데이터의 진정한 의미는 가치뉴스에서, 길거리 광고에서, 어디서나 빅데이터란 단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름만 봐서는 큰 데이터,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픽미, 픽미, 픽미 업(pick me up)” 15살이나 됐을까 싶을 정도로 앳된 소녀들이 나와 자신을 뽑아달라는 노래를 부른다. 매력적인 101명의 걸그룹 지망생들의 성장 스토리는 감동을 불러 일으키기 충분했지만, 한편으로는 영 석연치 않다. 아마도 소녀들의 과도한 경쟁과 비정한 탈락을 바라보면서도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암호와 비밀번호는 엄연히 다르다. 암호는 메시지나 통화 내용 등을 제3자가 알아보지 못하게 글자나 숫자, 부호 등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비밀번호는 본인을 증명하는 고유한 문자열이다. 1파트에서 다뤘던 내용이 암호에 대한 마스터키였다면, 2파트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비밀번호의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우주범선은 어디 있죠?”처음엔 당황했다.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에 등장하는 우주범선 ‘파피용’은 무려 14만4000명의 지구인을 태울 정도로 거대하다. 돛의 면적만 100만km2다(남한 면적의 10배). 이런 우주범선을 기대한 건 아니지만 지난 3월, 충남대에서 만난 우리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새로운 인류 화석이 발견됐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종은 키가 1m, 뇌 용량이 현생인류의 3분의 1에 불과한 호미닌이었다. 많은 학자들은 그 작은 크기에 경악했고, 일부는 ‘현생인류의 기형 아니냐’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했다(물론 금 ...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언제부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이상한 병이 있다. 동네 농구장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으로,공을 주으러 다니던 사람들이 지쳐 털썩털썩 쓰러진다. 다름 아닌 커리병 때문! 이름 때문에 일종의 식중독이라고 생각했는데…. 식중독이 아니고 슛 중독이다?! 인터넷에서 ‘curry’를 검색해보자. ... ...
- Part 1 원격으로 조종하는 마스터키, 스파이앱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거 제 사진 아닌가요?”지난 5월 6일, 스마트폰 해킹 모의 실험을 위해 보안 업체 ‘KTB솔루션’을 찾은 지 30분 즈음 지났을 때였다. 실험을 진행하던 화이트해커 그룹 ‘락다운’ 박재일 부대표의 노트북에 기자의 사진이 등장했다.락다운은 스마트폰 해킹에 대한 보안 기술을 연구하는 해커들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00년 이상 인간의 ‘아바타’ 역할을 해 온 실험동물. 동물실험에 문제의식을 느낀 사람들은 1979년부터 ‘세계실험동물의 날’을 정하고 동물실험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여 왔다. 그리고 최근 과학자들은 급속도로 발전한 과학 기술을 도구로 실험동물의 해방을 꿈꾸고 있다.1903년 2월 2일. 영국 ... ...
- [Editor’s note] 미래 최고의 직업은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요즘 인터넷을 하지 않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겁니다. 그만큼 일반적인 일이 되었지요. 저도 매일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보면 깜짝 놀랄 때가 많습니다. 요즘에는 어디를 가든 광고를 보게 마련인데, 언제부턴가 저한테 딱 맞는 광고를 보여주는 거예요. 외국 사이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천 년간 인류는 가시광선이라는 작은 창으로 우주를 탐구해왔다. 창문을 조금씩 넓히기 시작한 건 20세기 들어서다. 전파를 천문학에 이용하면서 우주배경복사를 보게 됐고, 적외선으로 온도가 낮은 별, 자외선으로 온도가 높은 별을 보게 됐다. X선과 감마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천체를 보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