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공학 및 전기화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전기화학적 지식이 필수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전기화학은 전자의 이동을 포함한 화학
반응
에 대한 것이다. 특히 에너지 전달과 깊은 관련이 있다. 전지가 가장 대표적이다. 연료전지, 태양전지, 리튬 2차전지 등이 있다. 전기화학은 차세대 에너지 개발의 핵심인 셈이다. 표면처리공학의 기본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방법은 작은 구멍을 통해 나오는 기체의 분출을 이용한다. 우라늄을 플루오르와
반응
시켜서 휘발성이 강한 화합물 UF6를 만들고 이것을 다공성 막에 통과시켜 235UF6의 비율을 높였다. 235UF6분자가 238UF6분자보다 가볍다. 그래서 235UF6분자가 먼저 막을 통과한다. 막을 한번 통과하면 235UF6의 비율은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잡아먹고 분해한 뒤 T세포에 이를 알렸다. T세포를 활성화시켜 더 빠르고 강력한 면역
반응
을 유도하는 것이다.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은 서로 다르게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던 두 면역계가 실제로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기존 면역학의 판도를 바꿔 놓았다. ... ...
스티브 잡스는 어떻게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CEO였던 에릭 슈미츠는 큰 전화와 태블릿의 차이를 알려달라면서 아이패드에 시큰둥한
반응
을 보였다. 각종 언론에서도 아이패드는 기존에 나왔던 태블릿PC처럼 실패할 거라는 부정적인 전망이 쏟아졌다.하지만 아이패드는 발매된 지 8개월만에 8000만 대라는 전자기기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자극이 ‘에로틱한 것’일 때와 단순한 것일 때 뇌의 감각령이 각각 어떻게 다르게
반응
하는지를 연구할 계획”이라는 말로 끝나고 있다. 비아그라가 많은 부부를 행복하게 한 것처럼 그의 연구도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 한때 심리학이 가장 관심 없어 하는 주제가 사랑과 행복이었던 것처럼, 과학은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보여준 결과다. 임 교수는 “아직까지 유산균이 약을 대체할 수는 없지만 균형 잡힌 면역
반응
을 유도해 더욱 많은 질환을 개선하는 보조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더 중요한 사실은 이 조합물 속 유산균마다 면역조절기능이 다를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앞으로 각 유산균이 ... ...
Depression increases Self-Hatred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처벌’에 더 강하게
반응
을 보이는 반면, 좌측 안와전두엽피질은 ‘보상’에 강한
반응
을 보인다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뇌회로 구조는 왜 우울증 환자들로 하여금 자기 자신을 더 싫어하게 할까? 과학자들의 답변은 이러하다. 이처럼 증오회로의 연결이 약한 사람은 사회적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들어온다. 다른 층의 명령에
반응
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내린 명령에만
반응
한다. 100%를 넘으면‘과적(overload)’표시와 함께버저가 울리며 문이 닫히지 않는다. 혹시 과적 표시등과 함께 운행되더라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엘리베이터는 정격 중량의 120%까지 정상적으로 운행하도록 설계돼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타이타늄을 쓴다. 타이타늄은 가벼우면서도 단단하다. 잘 부식되지 않고 체액과 화학
반응
을 일으키지도 않는다.또한 금속 중에서는 탄성계수가 뼈에 가까워 뼈를 대체하는 생체 재료로 좋다. 탄성계수가 뼈에 가깝다는 말은 유연성이 다른 금속보다 뼈와비슷하다는 뜻이다. 뼈는 힘을 받아야 ...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서비스가 널리 쓰이고 있다. 요즘 인터넷에서 어떤 화젯거리에 대한 해외 네티즌
반응
을 신속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외국어를 잘 하는 능력자뿐만 아니라 이런 자동번역기술의 덕택이기도 하다.컴퓨터로 언어를 번역한다는 생각은 이미 1940년대에 나왔다. 미국의 수학자인 워렌 위버가 1947년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