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테제베 일반철도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이용해 최대한 차단한다.진동의 경우는 레일 체결장치 침목 도상 및 노반 등의 경계
부위
에 방진재를 삽입하고 레일을 장대화 중량화시키며 궤도불규칙도를 일정한도 이내로 유지해 진동발생을 최소화한다. 구조물 측면에서의 방진대책으로는 강화노반과 탄성지지교량 사용 및 터널 구조물 ... ...
생활속의 '순간벼락' 정전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유입되는 것을 방지했다.자동차에 쓰이는 전기는 차체를 통해 방전되지만 연결
부위
에 사용된 플라스틱 등에 의해 접지능력이 약해져 인체와 닿을 때 정전기 발생이 잦다. 이 현상을 줄이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배기통에 금속줄을 달아 땅으로 내려뜨려 미리 방전시키는 것. ... ...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분포된 상태 역시 서로 다르다. 간상체는 망막의 주변
부위
에 많지만 추상체는 중심
부위
, 특히 중심와에 밀집해 있다. 하나의 눈은 약 6백만개의 추상체와 1억2천만개의 간상체를 갖고 있다.수용기의 전기에너지는 망막에 있는 네 종류의 뉴런을 차례로 통과한다. 끝에 있는 뉴런은 신경절세포이다.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들어온 다른 수컷을 쫓아 버린 뒤, 암컷이 오면 구애를 한다. 발정기가 되면 수컷의 배
부위
가 붉게 변한다. 이 색은 번식기에만 일시적으로 나타나며, 이를 혼인색이라 한다.수컷이 암컷에게 다가가서 자기의 붉은 배를 보여주면서 암컷을 유인한다. 암컷은 수컷을 따라가서 둥지에 알을 낳는데, ... ...
20년 넘도록 과부로 지내는 황새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있다. 암수 모두 흰색이나 날개 하단
부위
는 검은색의 깃을 가지고 있으며 나출된
부위
인 눈꺼풀과 다리 부분은 붉은 빛을 띈다.한쪽 다리를 들고 서 있기를 즐기며 목은 S자형으로 구부린다. 발정기를 맞이하면 머리를 뒤로 젖히고 위아래 부리를 서로 부딪치며 구애를 한다. 산란기는 3-4월이며 하얀 ... ...
뇌의 손상
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통해서 들어온 글의 내용이 베르니케
부위
에서 분석·해석되지만 이 정보가 브로카
부위
로 전달되지 않는다.인간의 뇌는 언어뿐 아니라 지능 사고(思考)인격 감정 등 고등 사유 능력을 산출 이해 조작하는 지능을 담당하고 있다. 기쁨 슬픔 행복을 느끼고, 과거를 회상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곳이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도로 개발대나무 일종인 맹종죽의 죽순은 우리에겐 고급식품으로 취급되는 맛있는
부위
다. 조릿대의 죽순도 쌓인 눈이 녹을 때쯤 파랗게 올라오면 겨우내 굶주렸던 고라니 사슴 노루 산토끼 등이 덤벼들어 뜯어 먹는다. 그러나 현재 생태섬인 북한산에는 이런 초식동물들이 완전히 멸종, 조릿대 ... ...
생물- 인체라는 에너지 공장 유지하는 자동시스템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방출되는 열의 양이 항상 같기 때문이다.사람과 같은 정온 동물이라도 체온은 몸의
부위
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노출된 부분 및 코끝 또는 귓볼 등 돌출부에서는 낮은 경향이 있다. 손발 등은 여름의 경우 32-33℃인데 겨울에는 15-25℃로 내려갈 때도 있다. 신체 말단부는 환경이나 온도 변화에 따라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포함한 변연피질
부위
에서의 광범위한 뇌신경세포의 파괴와 소실을 볼 수 있다.왜 이
부위
에서 신경세포가 광범위하게 파괴될까. 이는 '베타아밀로이드'라는 잘 녹지 않는 작은 단백질 덩어리들이 많이 만들어져 신경세포에 축적되어 뇌신경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 ...
인체속 소금의 기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가장 주요한 양(+)이온으로 전해질 역할을 한다. 체액의 균형은 바로 신체 수분 보유
부위
에서의 나트륨 농도에 달려있는 것이다(표1).나트륨이 인체내에서 맡는 중요한 기능중 하나는 세포내 삼투압을 조절하는 일이다. 세포내액과 세포간질액 사이에 존재하는 세포막은 자유로이 물을 투과시키는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