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축
비축
갈무리
보관
세이브
보존
재고
d라이브러리
"
저장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주병 색깔에 담긴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싹틔워 만든 맥아로 즙을 낸 다음 여기에 호프를 첨가해 발효시키고, 일정 기간 동안
저장
탱크에서 숙성시키는 공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이렇게 만들어진 맥주는 병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20여분간 60 °C의 수증기를 쏘이는 열처리 과정(저온살균)을 거침으로써 효모의 활성을 정지시킨 '열처리 맥주' ... ...
2. 홀로그래피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재생이다. 홀로그래픽 소자는 1cm³당 10억비트의 정보를
저장
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정보
저장
도 용이하다.컬러 홀로그램은 필름의 개발과 삼원색 레이저의 개발에 의해서 가능하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제작 능력이 부족하다. 서구에서는 취급과 대량 생산이 용이한 엠보스 홀로그램의 ... ...
'인공생명'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형태로 기기 사용에 익숙한 전문가나 비서의 일을 대행한다. 대리자는 컴퓨터의 방대한
저장
계산 및 통신 능력을 활용해 인간 비서보다도 더욱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큰 것들이 천장에 거꾸로 매달린 채 동료들이 먹여주는 꿀을 있는대로 받아 뱃속에
저장
하는 것이다. 이 ‘살아있는’ 꿀단지들은 부풀대로 부풀어 천근만근 무거운 몸도 마다않고 동료들을 위해 헌신한다.큰 나무에 구멍을 뚫고 사는 유럽의 목수개미(carpenter ants) 중에는 구조가 변화된 머리로 집의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신경전달물질이 오가며 정보를 전달한다. 신경이 자극되면 세포내에서 작은 주머니에
저장
된 신경전달물질이 신경말단에서 분리되고 이것이 다음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 신호를 전달한다. 신경전달물질은 현재 40여종이 발견됐다.혈관뇌장벽혈관과 신경세포 사이에 있는 2중 장벽. 간격 없이 ... ...
3. 해커막는 첨단 보안기술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쓰기 전용 매체를 이용해 실시해야 한다. 중요한 자료에 대해서는 항상 암호화해
저장
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될 일이다.인터넷을 통한 상거래가 확대 일로에 있는 요즘의 상황을 보자면 앞으로는 금전적인 이익을 노린 해킹이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에 연동된 금융기관이나 시스템에 ... ...
내 손으로 만드는 홈소프트웨어, 마우스만 누르면 OK!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발휘하면서 자신만의 창작 동화를 만들어낼 것이다.그리고 저작도구로 만든 동화는
저장
해 두었다가 언제라도 다시 보며 고칠 수 있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해 배포할 수도 있다. 생각해보라. 통신 서비스에서 주인공의 이름 정도만 고쳐서 사용할수 있는 동화 수천편이 있어 필요한 것을 고를 수 ... ...
차세대 디지털 미디어 DVD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가지고 있는 하드드라이브와 휴대가 용이한 ZIP 드라이브만이 DVD시대에도 살아남을
저장
매체로 전망되고 있다.가전분야 역시 DVD의 파급효과는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DVD가 기존의 VCR시장을 급속도로 대체할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DVD 개발의 배경에는 엔터테인먼트 분야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 ...
기능성 색소의 세계 온도따라 벽지 색깔 바뀐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정보를
저장
할 수 있게 됐다.20cm의 광디스크에는A4용지로 1만매나 되는 정보를
저장
할수 있다. 또한 원하는 정보를 즉시 재생시킬 수도 있다.이런 디스크의 기록매체로 텔루르(Te) 산화물 등이 사용됐다. 그러나 화학적으로 불안전하고 독성 등의 문제를 일으켜 기능성 색소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 ...
청소년기 아침식사 거르면 성적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뇌조직은 포도당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뇌 활동을 위한 체내의 포도당
저장
량은 그리 많지 않아 식사 후 약 10-15시간이 지나면 모두 고갈된다. 저녁식사 후 이튿날 아침식사까지 약 12시간 정도가 걸린다. 따라서 두뇌의 활발한 활동을 위해서는 아침식사를 통해 포도당을 비롯한 여러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