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점
중심
알맹이
정수
중앙
중추
중점
d라이브러리
"
핵심
"(으)로 총 3,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거리 여행객 위협하는 이코노미클래스 신드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정보기기 제품 개발에 많은 기업들이 주력하고 있다한마디로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핵심
프로그램을 커널(kernel) 수준에서 리눅스를 제어해 설계한 초소형, 초경량 운영체제를 말한다 소스코드가 공개돼 기술력만 있으면 원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무한한 가능성의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 ...
미국의 이라크 전에 대한 각국의 지지도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가능성이 높다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프로그램의 모든 연산을 수행하는
핵심
장치 중앙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원자핵이 α입자(헬륨원자핵과 동일)를 방출하고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바뀌는 현상 원자핵에서 양성자 2개, 중성자 2개가 줄어든다달톤(Daltons)의 줄임말 어떤 입자(주로 ... ...
1. 원자세계 조작하는 21세기 연금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사용되는 구조재료는 강도, 연성, 인성 등의 기계적 특성이 중요하다. 전자제품의
핵심
소재로 쓰이는 전자재료는 전기저항, 전도도, 유전율 등 전기적 성질이 특성평가의 잣대가 된다.나노소재기술이 나노미터 영역에서 물질을 다루는 기술이지만 그것을 실생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인지할 ... ...
4. 고대인이 개척한 광통신 소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이온들 간의 거리를 떨어뜨리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20nm보다 작은 캡슐 만들기EDWA에서
핵심
적인 기술인 나노캡슐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자. 고분자 중에는 한쪽 부분은 소수성(물을 싫어하는 성질)이고 다른 쪽은 친수성(물에 끌리는 성질)인 것이 있다. 이런 고분자 물질을 수용액에 넣으면, ... ...
기초연구에서 제품개발까지 산학연의 지휘자 서상희 단장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우리나라에서 진행되는 나노소재와 관련된 큰 규모의 사업으로는 사업단 외에‘나노
핵심
기술개발사업’이 있다. 이 사업에 나노분말 연구과제가 일부 포함돼 있을 뿐이다. 그래서 서 단장은“소재연구를 대표한다는 생각으로 사업단을 이끌어가고 있다”며 강한 책임감을 나타냈다 ... ...
3 월석에 간직된 잔류자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급속히 냉각된다. 이것이 짧은 시간동안 지속되는 다이나모가 되는 것이다.이 이론의
핵심
요소는 타이밍이다. 열 담요가 핵을 데우는 것과 다시 표면으로 떠오르는 시간이 초기 달의 두 가지 큰 사건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하나는 마그마가 분출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달 암석이 자기를 띠는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간접 발광하는 LCD에 비해 구조와 제조 공정이 간단해서 제조비가 저렴하다. 초박막을
핵심
재료로 이용하므로 매우 얇은 두께를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백열전구보다 2-3배 우수할 정도로 자체 발광 효율이 높고 선명하며, 화상을 볼 수 있는 각도가 크고 소비 전력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물론 박 박사는 연구 초기에 미생물 분야에 대해서 문외한이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핵심
에 미생물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는 두꺼운 영어책들을 쌓아놓고 무작정 독학을 시작했다. 확실한 감을 잡을 때까지 이론 공부에 매달리느라 밤을 지새우는 일이 많았다.7년 간 각고의 노력 끝에 찾은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미 정보국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라크는 대량살상무기를 비롯한
핵심
무기를 병원과 같은 민간건물 지하나 요새화된 지하기지에 숨겨놓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따라서 영화에서처럼 사람을 죽이지 않고 목표물을 무력화하는 정밀한 비살상무기가 필요하다. 바로 이 역할을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트랜지스터를 들 수 있다. 단 한개의 전자로 연산작용을 할 수 있는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핵심
동작 부분이 수-수십nm 정도다. 현재 60개의 탄소로 이뤄진 축구공 모양의 풀러렌(탄소공)을 이용해 1nm급의 단전자 트랜지스터가 개발된 정도다. 물론 아직까지 단전자 트랜지스터는 극저온에서만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