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
세포인
d라이브러리
"
핵인
"(으)로 총 2,548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2010년이 되면 지능로봇이 인간의 일을 상당부분 대신해줄 것이며, 2020년이 되면 외국어를 공부하지 않아도 아무런 불편이 없게끔 자동통역기가 등장할 것이다. 2030년에는 암치료제가 개발돼 암에 대한 공포가 사라질 것이며 2050년이 되면 에너지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핵융합로가 개발될 것 ... ...
2 점보제트기가 떠서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액체나 기체가 힘을 가지는 것은 그 속의 분자가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수세식변기에서부터 로켓에 이르기까지 분자의 힘을 이용한 도구를 살펴보자.오늘날 우리는 물이나 공기 등이 원소라고 하는 작은 단위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현대과학이 밝혀낸 이들 원소는 1백3종에 이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현재 한국경제가 부닥치고 있는 어려움의 원인을 기술력의 부진에서 찾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은 6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개발계획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과기처와 KIST의 설립, 해외과학자유치, 원자력연구와 대덕연구학원도시구상 등 현재 우리과학기술의 토대는 대부분 이 시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비행기를 만들기 위해 새의 모든 것을 이해할 필요는 없다. 날아가는 새의 모습에서 비행기의 힌트를 얻는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신경망컴퓨터는 두뇌의 신비가 다 풀리지 않더라도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두뇌를 닮은 또다른 인공두뇌이기 때문이다.고등학교 시절 '20년 후'라는 ... ...
「노화 유전자」후보들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인간의 세포를 배양하면 어느정도 분열을 계속한 후, 분열능력을 잃어버린다. 이것이 바로 노화(老化)의 정체다. 이처럼 세포가 노화, 즉 분열능력을 잃어버리는데 간여하는 유전자(노화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인간의 폐나 신장 등 여러 장기들로부터 세포를 추출해 유리그릇 ... ...
MIT서 반(反)노벨상 시상식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스웨덴 왕립아카데미에서 노벨상 수상자들을 발표한 지난해 10월 미국 MIT대학에서는 좀체 보기 힘든 시상식이 열리고 있었다. 과학적으로 불명예스런 업적을 남긴 사람들에게 '반(反)노벨상'이 수여되고 있었던 것이다.이 행사는 MIT박물관과 한 잡지사가 기획했다. 먼저 이 잡지의 마크 에이브러험 ... ...
레이저에서 광컴퓨터로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레이저의 출현으로 한층 고무된 양자광학의 세계는 이제 비선형광학으로 발생한 혼돈의 세계를 연구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만일 물리적 현상이 선형적(linear)이었다면 보이는 세계는 활기가 없고 우리의 삶은 변화가 없으며 무미건조했을 것이다. 다행히 우리는 비선형 세계에서 살고 있다. 선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밤하늘 별을 보며 아름다움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은 거의 없으리라. 또한 학창시절 사랑의 감정을 별을 통해 전해 보지 않은 사람 또한 거의 없으리라. 우리네들 삶이 젊은 시절 그렇게 메마르지 않았다는 증거이리라. 그러나 나이를 먹게 되면서 어느 순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을 단지 ... ...
소련 과학자들 해외취업 붐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련의 대변혁 이후 소련학자들의 해외취업이 날로 늘고 있다. 소련 국내의 경제사정이 어려워져 과학자들에 대한 대우가 형편없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취업희망자중에는 우리나라로 직장을 옮기고 싶어하는 사람도 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소련 핵공학자의 북한유입에 대해서는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왜 하필이면 캄브리아기에 이르러 생물들이 「폭발적 번성」을 하게 됐을까?지구는 태양계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범위내의 우주에서 유일하게 생물이 살고 있는 곳이다. 왜 지구에만 생물이 있는가. 생물은 언제부터 지구상에서 살기 시작했을까. 옛날에도 현재와 같은 종류의 생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