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62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 보호막으로 수명 늘린 리튬 금속 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9
수명이 6배 이상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엄광섭 신소재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배터리 내부 음극과 양극에 전류를 공급하는 부분인 '구리 집전체'에 전기화학적 전처리로 리튬 금속 전지 용량 유지율 및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연구팀, 암 진단·치료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3.28
융합
공학
과 교수. 포스텍 제공 ■ 장영태 포스텍 화학과 교수와 강남영 정보통신(IT)융합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암 진단과 치료들 동시 진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싱가포르 연구팀도 참여한 이 연구는 ‘TiY’란 형광물질이 종양을 유발하는 세포를 염색하는 동시에 종양 세포를 억제해 ... ...
최시영 삼성전자 사장 "전세계 반도체 인재 확보 경쟁...정부·학계·기업 모두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엘타워 오르체홀에서 ‘대한민국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진단과 혁신’을 주제로 제266회
공학
한림원 포럼이 열렸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전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는 약 500조원에 달한다. 이 중 절반 이상인 55% 가량이 시스템 반도체 시장이다. 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3%에 불과하고 ... ...
돼지 신장 받은 원숭이 세계 최장 생존...국내 연구진, 잇따라 기록 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형질전환 돼지 제작 기술이 발전하면서 성과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생명
공학
기업 옵티팜은 이 회사가 개발한 형질전환 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원숭이가 117일간 생존한 것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기존 국내 최고 기록은 115일이었다. 이종 신장이식 성공를 판단하는 생존 기간 ... ...
핵융합연, 핵융합 실증로 극한 환경 견디는 로봇 개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공동연구를 통해 확보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핵융합 실증로 원격유지보수 시스템의
공학
설계 착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로봇 제작 관련 기술들은 핵융합 실증로 건설의 핵심 장치 개발에 적용되는 만큼 핵융합 실증로 건설을 위한 국내 기술력도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석재 ... ...
완전자율주행 핵심 퍼즐 '안전성'...더 똑똑한 AI가 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7
정보만을 취합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확인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권민혜 숭실대 전자정보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은 자율주행 차량이 도로 전체가 아닌 주변의 정보만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딥러닝' 기술을 지난해 국제학술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차량통신기술학회지’에 발표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과학동아
l
2023.03.25
권우성 제공 ※필자소개 권우성 숙명여대 화공생명
공학
부 부교수. 2010년 POSTECH 화학
공학
과를 졸업하고, 2013년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거쳐 2016년부터 숙명여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광나노소재 설계 및 관련 응용 기술 ... ...
[오늘과학] '꿈틀꿈틀' 수mm 공간 기어가는 애벌레 모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움직이는 애벌레 모사 로봇이 개발됐다. 주용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기계및항공우주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은 꿈틀거리는 애벌레의 움직임을 모사한 로봇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3일 공개했다. 애벌레는 몸을 구부러트려 움직인다. 몸에 곡률을 만들어 ... ...
한국화학연구원 신임 원장에 이영국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임기 만료 후 4개월 여만에 새 원장 선임이 이뤄졌다. 이 원장은 1985년 서울대 무기재료
공학
학사, 같은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9년 화학연에 입사해 나노기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양자점 개발, GaN 단결정을 성장시키는 기술과 장비 기술 국산화 연구를 해왔다. 또 화학연 ... ...
[과기원은 지금] KAIST, 마이크로 LED 소자 효율 높일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및 전자
공학
부 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김상현 전기 및 전자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단위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가 소형화될 때 소자 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규명하고 에피택시 구조 변경으로 저효율 문제를 해결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