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숭례문화재보고서-방화에서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용하기 때문에 누전 등의 염려가 없어 문화재에도 안심하고 설치할 수 있다.화재경
보기
가 불꽃을 탐지하면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나 물안개 분사시스템이 작동하게 된다. 물안개 분사시스템은 단순히 물을 뿌리는 스프링클러와 달리 안개 같은 물 입자를 내뿜는다. 스프링클러에 비해 물을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파샤가르드 리서치 재단의 고증 자료를 토대로 2500년 전 페르세폴리스를 디지털로 되살려
보기
위해서다.설렘 반 걱정 반으로 도착한 페르세폴리스 유적지에서 느낀 생생한 감동을 지상(紙上)에 전한다. 모든 길은 페르세폴리스로 통한다기원전 525년 페르시아의 아케메네스왕조는 아시리아를 ... ...
'궁극의 회로선폭' 0.3nm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논문을 발표했다. 그런데 일본의 동경대에서 ‘초짜 조교수’였던 염 단장의 논문은
보기
좋게 게재 거부를 당한 반면, 골드 교수의 논문은 1999년에 네이처에 실렸다.그 뒤 염 단장은 또 다른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약 20편의 논문을 한 번도 거부당하지 않고 게재할 만큼 인정을 받았다. ... ...
나무로 만든 꿈의 롤러코스터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위험이 없고, 안전 점검이나 유지 보수도 훨씬 쉽다.뼈대를 이루는 나무들도 겉으로
보기
엔 평범하지만 보통 나무가 아니다. 우든코스터를 만드는 데는 보통 전나무나 소나무 같은 침엽수를 많이 쓴다. 침엽수는 활엽수보다 조직이 치밀하고 촘촘해서 강도가 좋기 때문이다.T-익스프레스는 레일을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보면 초승달과 붉은색 화성이 나란히 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밤 11시 쯤 두 천체는 겉
보기
거리 45′(보름달이 1개 반 정도 들어갈 거리)로 접근한 뒤 자정 무렵 지평선 아래로 진다. 근처 천문대를 방문해 망원경으로 달과 화성의 조우를 카메라로 찍어보자 ... ...
쌀
보기
를 황금 같이! 황금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고추 유전자를 이용한 황금쌀이 개발됐다는 소식입니다. 농촌 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의 하선화 박사팀은 고추의 색을 내는 유전자를 이용해서 비타민A가 들어 있는 기능성 쌀을 개발했어요. 고추는 붉은색을 내는 라이코펜을 비롯해 황금색을 내는 베타카로틴, 주황색을 내는 지아산틴 등의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호하는 ‘주치의’상처를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새살이 곱게 돋아나지도 않고
보기
싫은 흉터를 남긴다. 마찬가지로 유전자가 손상을 입은 상태에서 전사가 일어나면 비정상적인 세포가 태어난다. 이런 비극을 막기 위해 Rb단백질이‘주치의’로 활약한다.우리 몸속에 상처 입은 유전자가 ... ...
약물 배달하는 똑똑한 미세바늘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기
만 해도 공포를 자아내는 주사기 대신 ‘마이크로 바늘’이 활약할 날이 멀지 않았다.미국 조지아공대 화학생체공학과 마크 프라우스니츠 교수팀은 수많은 미세바늘로 이뤄진 약물전달용 패치를 개발해 재료공학분야 국제저널인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2월 5일자에 발표했다.미세바늘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halliokigklopeolagoiosiraiobaphetraganopterygon(182자)
보기
만 해도 한숨부터 절로 나오는 이 단어를 ‘잘’ 외우는 방법은 무엇일까. 암기카드를 만들거나 노랫말을 붙여도 외우기 쉽지 않다.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재승 교수는 인공해마의 도움을 받으면 182자를 쉽게 외울 수 있다고 말한다. 해마는 10분 ...
밤하늘에서 한국 최초 우주인과 마주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밝은 인공위성은 많지 않다. 하지만 인공위성 가운데 가장 큰 국제우주정거장(ISS)은 겉
보기
밝기가 최대 -4등급에 이를 정도여서 도심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2008년 4월 8일, 한국 최초 우주인이 ISS로 떠난다. ISS에 도착한 뒤 그곳에서 내려다보는 한반도의 모습도 멋있겠지만, 한국 사람이 타고 있는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