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
넘버
번호
d라이브러리
"
숫자
"(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이름이다. 그리고 영문 뒤에는
숫자
가 나오는데 이들도 분류된 순서를 나타낸다. 이런
숫자
가 수천까지 나오는 것을 보면 이런 종류의 천체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20세기초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이 처음으로 은하를 분류하기 시작했는데 일차적인 기준이 은하의 모양이었다. ... ...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치 계산기 액정화면의 단위가 점멸하면서 0부터 9까지의
숫자
를 나타내듯이 1천개의 냄새수용체 단위가 모여 점멸하면서 만들어진 패턴이 수많은 냄새를 나타내는 것이다.아쉽게도 후각에 대한 연구는 여기서 더 진전되지 못한 상태이다. 어떤 냄새 분자가 어떤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색이 단단하게 새겨진다. 우리가 손쉽게 접할수 있는 사례로 셀룰러폰이나 PCS폰의
숫자
판을 들 수 있다. 인쇄된 글자가 두껍고, 마찰에 잘 견디고, 내구성이 우수하다.하지만 UV잉크는 색을 내는 성분에 따라서 굳어지는 속도가 달라 일반잉크에 비해 적용범위가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또 가격이 ... ...
③ 양자이론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포함돼 있는 어떤
숫자
가 풀이를 분류하는 중요한 기준이 됨을 밝혔는데, 바로 이
숫자
가 그 방정식의 고유값이다. 이 때 미분방정식의 풀이 중에서 그 고유값에 대응하는 것을 고유함수라 한다. 예를 들어 $\frac{d²}{dx²}$sin ax=-a² sin ax라는 식은 $\frac{d²}{dx²}$f(x)=kf(x)와 같은 미분방정 ...
만약 30억개 염기쌍이 흩어져 있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이 염기들을 특정한 순서로 연결해서 소위 염기 서열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이 엄청난
숫자
의 염기들은 아무런 정보를 가지지 못한다. 8만대장경의 글자들이 제멋대로 흩어져 있으면 아무런 의미를 지니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이듯이 염기가 30억개라도 꿰어야 ... ...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한사람이 계산한 값은 작은 야광 전등판에 표시되고, 옆사람은 이를 계산에 이용한다.
숫자
들은 주위의 3방향으로 표시돼 동서남북으로 교환된다. 홀 중앙의 커다란 단상에는 전 극장을 총괄하는 자가 앉아서, 각지의 계산작업이 서로 비슷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통제한다. 이 점에서 그는 흡사 악기 ... ...
수학이 숨쉬는 곳 슈퍼마켓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위해서는 뺄셈이라는 연산이 필요하다.문명 사회에서는 자연 언어만이 아니라 ‘수와
숫자
’라는 수학 언어를 접하게 되고, 이런 수학 언어의 문법(수의 계산 법칙)에도 능통해야 한다. 구구단만큼 흥미롭고 누구나 알고 있을 정도로 인기있는(?) 노래가 또 있을까.사실 수학 언어는 우리 삶 속에 ... ...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학교나 기업체에서 색각검사법인 이시하라식 색신표는 여러가지 색속에 감춰진 25가지의
숫자
나 도형을 판별하도록 돼 있다.그러나 판별능력이 개인이나 연령에 따라 오차가 많고 색각이상의 정도를 잘 알 수 없다.서울대 의대 한천석 교수가 만든 한식 색신표도 기본적으로 이시하라식과 동일하다 ... ...
모차르트 음악이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그리고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음 높이를
숫자
로 표시했다. 이렇게 얻은 연속적인
숫자
의 앞뒤 차이 값의 데이터에 대한 파워스펙트럼을 그려보았다. 보스와 클라크 박사는 음의 높낮이 분포보다는 음이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이들은 음의 변화에 관한 정보를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수 있다.예를 들어 몇년 전 북한의 홍수와 가뭄으로 갑자기 남한의 한 서식지에 철새의
숫자
가 증가한 일이 있었다. 전문가들이 이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남한뿐 아니라 북한 환경까지 조사해야 한다. 그래야 앞으로 어떻게 대처해나갈 것인지를 검토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문가들 중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