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설치되어 있는 2대의 ‘라이트하우스’ 센서는 적외선을 통해서 HMD와 컨트롤러의 위치와 움직임을 빠르게 파악해요. 즉, 현실 속에서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면 라이트하우스 센서가 이를 바로 파악해 가상현실에 그대로 반영되는 거랍니다. 둥둥 떠다니는 그림을 그려 보자!“왼손을 내밀면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역에서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어요. 당시 사람들은 무거운 물건을 옮기기 위해 통나무를 사용했어요. 옮기려는 물건과 바닥 사이에 통나무를 놓으면, 통나무가 구르면서 물건을 편하게 운반할 수 있었기 때문이지요. 그 이유는 마찰력에 있어요. 일반적으로 물건을 밀면 움직이는 반대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맞는다. 이 기사에서는 2018 공모전 수상작 5개를 소개한다. 접이식 초고층건물공모전 1위는 폴란드 건축가 3명이 아이디어를 낸 ‘스카이셸터닷집’으로, 재난 지역에서 구호용 임시 건물로 쓸 수 있는 접이식 초고층건물이다. 아코디언처럼 접었다 펼 수 있는 건물이다. 작게 압축해 헬리콥터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시스템을 갖춘 화재 예방 초고층건물이다. 칠레에서 자주 발생하는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한 초고층 아파트 컨셉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Part 3. 지진으로 인한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쌓아올려야 한다면, 우주 궤도에 커다란 정지위성을 띄우고 초고층건물의 꼭대기를 위성과 연결해 건물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 같다”고 우주전망대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점쳤다. 초고층건물을 향한 아이디어는 끝이 없다. 아직 재료나 기술이 따라오지 못할 뿐이다. 꿈꾸고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술법을 고안했습니다. 평균 곡률 흐름이란 평균 곡률에 의존하도록 리만 다양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서검교 숙명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브렌들 교수가 계속해서 좋은 연구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에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다고 생각한다”면서, “201 ... ...
- [DJ CHO의 롤링수톤] 승리를 견인하는 떼창, 승리의 함성 20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같은 음악 외의 변수를 알고리즘에 넣어 분석했습니다. 그렇게 뽑은 최고의 곡은 퀸의 ‘위 아 더 챔피언’, 두 번째는 빌리지 피플의 ‘Y.M.C.A’입니다. 그래서인지 이 두 곡은 올림픽이나 월드컵처럼 대형 스포츠 경기에서 빠지지 않는 곡입니다. 퀸의 노래는 1994년 미국 월드컵 때 공식 ... ...
- [과학뉴스] 월드컵 우승국은 스페인? AI 예상 결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본선에 진출한 32개국 중 29위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FIFA 랭킹 1위이자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우승국인 독일(17.1%)은 스페인에 이어 우승 확률이 두 번째로 높았다. 연구결과는 6월 8일 논문 초고 온라인 등록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org)’에 공개됐다 ...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똑같지는 않더라도 유저가 보기에 위화감이 들지 않을 정도로 비슷한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다. 가령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 약 9.8m/s²이지만 게임 엔진에서는 편의상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테면 현실에서는 물체가 떨어질 때 중력의 영향과 함께 공기저항을 받지만, ‘마영전’ 세계에서는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유저들은 대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본능적으로 몸을 최대한 숨겨 적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서다. 그런데 만약 맵이 ‘선대칭’이라면 좌회본능에 맞춰 디자인된 지역에 배치된 팀에게만 유리하다. 상대편 맵은 구조는 똑같지만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FPS 맵은 두 팀이 배치되는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