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으)로 총 4,2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의 크기를 아는 병아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방 앞에 똑같은 판이 하나씩 서 있었어요. 두 판에는 각각 빨간 점 2개가 찍혀 있었지요. 저는 왼쪽에 있는 판의 뒤로 가서 벌레를 먹었어요. 왜냐하면 2는 5보다 왼쪽에 있는 수라고 생각했으니까요. 두 판에 각각 점이 8개 찍힌 때도 있었어요. 그때는 오른쪽 판 뒤에서 식사를 했어요. 8은 5보다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안내해준 유민철 한국수자원공사 대리는 “소통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먼저 다가가는 게 중요한것 같다”며 “그래서 주민들에게 모든 정보를 공개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파주는 수돗물 사용을 꺼리는 주민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아파트 단지의 실시간 수질 정보와 아파트 물탱크에 ...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주무관은 “피해가 극심한 지역마다 현장특임관과 책임담당관을 임명해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물론 당분간은 숲에서 말라 죽은 소나무를 마주칠 수밖에 없다. 취재 과정에서 만난 전문가들은 소나무재선충병이 처음 발병한 초기에 잡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다. 외래침입종은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정서가 굉장히 잘 맞아요. 걔네 다 너드잖아요. 모든 걸 다 과학적으로 보는. 저도 주변에서 너드나 생덕이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기분 나쁘지는 않아요. 오히려 캐릭터이자 개성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전 너드로 사는 게 재밌어요.” (박건희 씨)“드립의 원조는 학교예요. 삼각함수 사분면을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 10억432만 원인 달 6박7일 여행상품을 비롯해 화성, 금성, 수성으로 향하는 “전 세계 최저가” 우주왕복항공권이 SNS를 타고 퍼졌다.기자도 완벽히 속았다. 바로 직전에 스페이스X에서 발표한 민간우주여행 콘셉트를 봤던 게 패착이었다. ‘티몬이 스페이스X보다 한 발 빨랐구나….’ 순간 ... ...
- [Knowledge] 유로파를 향해 떠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갔다. 그러나 우리는 한국형 발사체 기술과 뛰어난 위성 기술을 이용해 고고도와 중고도, 저고도의 공격을 다 막을 수 있는 삼중 미사일 방어 시스템을 독자 개발했다. 이 시스템은 북한이 시도하던 핵무기 탑재 미사일을 무력화시켰고, 군사적 억제력은 평화통일 협상의 견인차가 됐다. 2030년, ... ...
- [Knowledge] 건축물 진단하는 ‘문화재 의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좋아하는 문화재는 몇 번이고 반복해 찾아가 똑같은 자리에 앉은 채 감상하는 게 취미인 저인데, 문화재가 움직였다는 낌새는 한번도 챈 적이 없습니다. 제가 둔한 걸까요.“모르시는 게 당연하죠. 아주 미세해서 눈에 보이지 않으니까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오래 관찰하지 않으면 알아채기 ...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되거든요.Q 전자공학을 전공했는데 작품 활동에 도움이 됐나요?A 잘 모르겠습니다. 저는 공부를 썩 열심히 하는 편도 아니었고요. 인두질을 하거나 납땜을 하는 것은 인공위성을 만들면서 몸으로 부딪히며 배운 겁니다(송호준 작가는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2005년 졸업했다).Q 앞으로 어떤 ... ...
- [Life & Tech] 저 하얀 설원 위에~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나눈 24절기, 즉 입춘에서 시작해 대한으로 끝나는 절기력을 기준으로 하지요.* 가장 먼저 드는 절기가 입춘, 그러니까 양력 2월 4일에 띠가 바뀌는 겁니다. “헉! 올해 2월 1일에 태어난 내 조카도 그럼 말띠였던 거야?”이제 해가 뉘엿뉘엿 질 시간이네요. 기다렸다는 듯 소년이 말합니다. “많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항암치료 고통 덜어준 유방암 예측 SW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그보다는 먼저 수학 이론을 충실히 공부해 알고리듬에 대한 개념을 익히는 것이 좋다. “저는 의대에 오고 싶다는 고등학생이나 대학생들에게 ‘반드시 응용수학을 전공한 다음에 오라’고 추천합니다. 제가 만약 학생 선정에 관여하게 된다면 응용수학을 필수조건으로 만들 겁니다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