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적
제명
배제
예외
특례
배타
배척
d라이브러리
"
제외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혈압의 주범은 소금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계산했다. 또 비만과 음주량도 고려했다.그 결과는 소금소비가 대단히 적은 몇 지역을
제외
하면 소금섭취와 고혈압발생률 또는 평균 혈압사이에 서로 관계가 없다는 것이었다. 게다가 그간 미국에서 고혈압 발생률이 높은 것은 짠 가공식품을 많이 먹어서인 것으로 생각돼왔지만 이 연구에 따르면 ... ...
문자다중방송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고감도이므로 난시청지역은 아예 시청이 불가능)에서 구입해 전혀 효과가 없는 경우를
제외
하면 실제 시청자는 얼마 안된다고 봐야 한다. 결국 소수를 위해, 좀 심하게 얘기하면 '허공'에다 전파를 쏘아대는 꼴이다. 매년 10억원 이상씩 들이는 방송사의 낭비와 국민들의 무관심이 악순환을 계속하고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예외적으로 성공한 경우였다. 국내에서 학위를 받지 않는 한 인정해주지 않는 일본을
제외
하면 개발도상국으로서 해외두뇌유치에 성공한 경우는 우리가 유일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국내에 들어오기 위하여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는 오늘의 현실은 60년대 KIST의 성공적인 유치전략 덕분일 ... ...
내일의 우주인 꿈키워주는 일본 「스페이스 캠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상품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힌다.오늘날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격차는 특정분야를
제외
하고는 흔히 10년 이상이라고 평가된다. 미래의 과학기술담당자인 청소년들의 의식차이는 다시 미래의 격차로 귀결될 것이다. 기업들이 지은 위락시설 하나에서도 자기나라의 우주개발 역사를 배우고 미래에의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공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프트웨어 로열티 지급, 해외의존 부품비용 등을
제외
하면 경쟁력 우위가 다 떨어져나가 현재와 같은 수출부진에 허덕이게 된다.마이크로나 중형급 이상은 어떤 상태인가. 현재까지 중대형컴퓨터는 전량수입 의존이고 마이크로(소형급)는 세계적인 표준화경향에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소재를 지구상에서 가장 우수한 소재로 간주하고 있다(단 가격이 비싸다는 점은
제외
하고). 더구나 항공기의 차체나 엔진은 최첨단 소재를 총망라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신소재의 진열장을 이루고 있다.빠른 항공기를 설계하려면 모름지기 기체를 가볍게 해야 한다. 기체의 중량이 적어지면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표적 생물은 삼엽충 완족동물 극피동물이다. 그중에서 삼엽충은 토모시언시대를
제외
한 캄브리아기 전기간중 가장 번성했던 생물이었으므로 캄브리아기를 가리켜 '삼엽충의 시대'라고도 부른다. 삼엽충은 절지동물에 속하는 생물인데 매우 복잡한 형태를 보여준다. 여러 개의 마디로 이뤄진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처음이어서 계획대로 잘만 운영된다면 소기의 성과를 올릴 전망이다.그러나 이 사업을
제외
하고는 여전히 기초과학 활성화에 대한 정부의 인지도가 낮고 투자가 부족하다는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89년을 '기초과학연구 원년'으로 지정했지만 기초과학연구지원센터 활성화 등은 첨단기술개발 요구로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공기가 폐로 들어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음식물을 삼킬 때 필요한 1~2초 동안을
제외
하고는 호흡이 끊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파충류는 변온동물인 까닭에 산소의 지속적인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와같은 입천장이 없다.그런데 후에 발견된 테랍시드는 입천장이 있는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국내 대학의 연구수준은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대 경북대 등 몇몇 대학을
제외
하고는 일천하다. 대학의 신소재 관련 학과로는 전자공학과(전자재료과 포함) 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무기재료과) 고분자공학과 섬유공학과 화공과(공업과학과) 화학과 물리학과 등이 있다. 신소재연구가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