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점
미점
메리트
d라이브러리
"
좋은점
"(으)로 총 3,4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노기술이 벤처투자업계에서 새로운 투자 유망 분야로 등극하고 있다. 2-3년 내에 나노상품이 등장할 전망이다.나노기술의 상업화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새로운 금광은 나노기술에서 찾아라."최근 세계적인 벤처투자업계에서 해 저무는 정보통신기술을 대신할 투자 유망 분야로 나노기술이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계와 인간의 싸움으로 지구의 태양은 이미 사라졌고, 인간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기계는 자신만의 시스템 안에서 사람을 지배한다.’영화 ‘매트릭스’의 배경이다. 영화 속 얘기처럼 과연 기계들은 사람의 도움 없이 자기 스스로 시스템을 만들어 인간을 지배할 수 있을까. 또 기계는 변하는 ... ...
무령왕이 일본산 나무관에 잠든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지난 1971년 무령왕릉에서 시꺼먼 널판자가 출토됐다. 무령왕과 왕비의 관을 이루고 있던 나무다. 11조각의 판자는 발굴 당시 별 관심을 끌지 못했다. 하지만 이 나무판자에는 고대 한·일간의 관계를 밝혀줄 과학적 증거가 숨어 있다. 나무판은 일본에서만 자라는 신비의 나무로 이뤄졌다는데…. 역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경제 수준이 향상되면서 고가인 외국 브랜드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런 상품을 가리켜 흔히 명품이라 부른다. 명품은 보통 상품과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명품이 현재의 위치를 차지하기까지의 이야기를 들어보자.명품이 유행이다. 명품만 고집하는 사람이 생겨나면서 이들을 가리키는 말 ... ...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인간게놈프로젝트에 맞먹는 성과 ”. 4월초 미국과 중국의 공동연구팀 및 다국적 농업기업 신젠타사가 두 종류의 벼 게놈을 해독하자 쏟아진 찬사다. 벼 게놈 해독의 의미와 숨가쁘게 진행된 각국의 게놈 해독 경쟁을 알아보자.2000년 6월 인간 게놈지도의 초안이 발표되자 전세계는 ‘생물학의 새 ... ...
빨대와 튜브로 만든 63빌딩 높이 재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63빌딩은 얼마나 높을까. 빨대와 플라스틱 통, 또는 튜브와 플라스틱 통으로 만든 기압계로 그 높이를 알 수 있다.어느날 잠에서 눈을 뜬 모험이와 슬기는 낯선 방에 와 있는 것을 알았다. 그 방은 정육면체로, 모든 벽면이 똑같이 생겼다. 이들은 이 이상한 방에서 나가기 위해 방을 둘러본다. 그런데 ... ...
뜨거운 6월 태양 가리는 부분일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뜨거운 여름태양이 빛을 잃는다. 구름에 가려지는 것은 아니다. 태양의 귀퉁이가 살짝 베어나간 모습. 바로 하늘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가장 진귀한 모습 중 하나인 일식이다. 6월 11일 아침에 펼쳐질 부분일식을 미리 만나보자. 하늘에 변함없이 떠있던 태양이 어느날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한다. 태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생명과학자는 이전에 없던 캐릭터를 식물에 부여함으로써 맞춤 작물을 만들어낸다. 이를 위해 동원되는 첨단 방법은 무엇일까. 유용유전자 발굴에서 새로운 맞춤 작물이 개발되기까지의 면면을 살펴보자.“만약 딸이면, 우리 딸이 김희선 같은 얼굴에, 이소라 같은 몸매면 좋겠다. 우락부락한 아빠 ... ...
집까지 무사배달 위한 포장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모든 일에는 마무리가 중요하다. 전자제품 개발에서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좋은 성능을 발휘하고, 잔 고장 없이 일정 기간 동안 수명이 보장되는 제품을 생산한다고 해도 소비자의 집 앞까지 안전하게 배달되지 못한다면 도루 아미타불이 되고 만다. 따라서 배달과정에서 아무 탈이 없으려면 제품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우리 민족의 의학은 어느 정도였을까. 구한말 서양의학은 어떻게 도입됐을까. 우리 민족의 생로병사는 어땠을까.한국의학사 학자는 이런 질문에 답을 찾아나가면서 현대인과 우리 조상의 간격을 메꿔가고 있다.“허준이 스승 유의태로부터 의학의 진수를 배운다. 또 병들어 죽을 수밖에 없는 스승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