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은 핵폭탄이 안겨준 선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얽히고 설키게 하는 전산연결망을 가리킨다. 기존의 네트워크형태는 가운데 주컴퓨터
주위
로 다른 컴퓨터들이 하나씩 연결돼 있는 중앙집중식이었다. 이 형태에선 중앙의 명령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각 컴퓨터에 전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분산네트워크에선 중앙과 주변의 경계가 없어져 버렸다 ... ...
열역학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상태를 비평형 상태라고 한다.프리고진은 평형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비평형 상태에서는
주위
의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엔트로피를 감소시킴으로써 매우 안정한 구조가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이렇게 혼돈의 상태에서 출현하는 새로운 구조는 엔트로피를 흩뜨려서 사라지게 만들면서 생겨나는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천5백만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태양의 나이가 50억살인 점으로 볼 때 태양은 이미 은하계
주위
를 약 25번 회전한 셈이다.이렇듯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우리은하 실제 모습은 어떨까? 태양은 이미 은하의 강에 깊숙이 빠져 있으므로 이곳에서 은하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 숲 ... ...
2천년만에 깨진 원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만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그는 전자가 양성자로 이뤄진 원자 핵
주위
를 도는 새로운 원자모델을 만들어 1911년 5월 7일 맨체스터 철학협회에 발표했다. 그런데 러더퍼드의 모델은 결정적인 약점을 지니고 있었다. 맥스웰 전자기이론에 따르면 원운동하는 전자는 가속되기 ... ...
작가 송지나가 본 과학,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드라마로 만든다는 것이 “과연 돈이 될까”. 그가 ‘카이스트’를 쓰겠다고 했을 때
주위
사람들이 전했던 한결같은 우려였다. 아니 그것은 어쩌면 가치보다는 상업적 이득이 우선되는 우리 시대의 천박한 문화의식에 대한 자조적인 푸념이었는지 모른다. 과학과 과학자는 필요한 것이지만 그들의 ... ...
신화속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아프로디테는 크로노스(토성)가 아버지 우라노스의 남근을 잘라 바다에 던지자, 남근
주위
의 정액 거품이 모여 탄생했다고 한다.옛날 우리나라 사람들은 해뜨기 전 동쪽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샛별, 해진 후 서쪽하늘에 보이는 금성을 태백성이라고 했다. 그런데 그리스인들은 금성을 천체 중에서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스웨덴보리(1688-1772)는 식사 도중에 5백여km 떨어진 스톡홀름에서 큰 불이 났다고
주위
사람들에게 말했다. 그는 그로부터 두시간 동안 불길이 번진 화재의 진행상황을 상세히 묘사하였다. 훗날 스웨덴보리가 말한 것과 똑같이 스톡홀름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실이 확인되었다.(사례2)1865년 아브라함 ... ...
② 인간 생명은 언제 시작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거쳐야 비로소 난자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수억개의 동료 정자들 중 성공적으로 난자
주위
에 도달하는 것은 수백여개에 불과하다. 이 중 가장 빠르고 운(?)이 좋은 정자 하나가 난자의 투명대층을 뚫고 들어가서 난자세포막에 도달한다. 이때 즉시 (1초 이내) 세포막에서 전기 반응이 일어나 다른 ... ...
1965년 노벨화학상 우드워드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형태이다.(그림2)에서 화합물의 중앙의 푸른색 공은 중심금속인 코발트를 표시하며 그
주위
의 막대는 A-D의 오각형고리 4개로 구성된 코린고리를 표시하고 있다. 나머지 구조는 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회색은 탄소, 흰색은 수소, 붉은색은 산소, 푸른 색은 질소, 오렌지색은 인을 표시한다.우드워드가 ... ...
별무리 보석상자 산개성단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하늘과 성도를 비교해 가면서 찾아보도록 하자. 망원경이 준비된다면 목표로 잡은 대상
주위
에서 밝은 별을 찾아 단계별로 접근해가도록 한다.산개성단은 주로 넓게 퍼져 있으므로 시야가 넓은 망원경이 더 유리하다. 특히 은하수를 배경으로 많은 별들 속에 파묻혀 있는 산개성단은 쌍안경으로도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