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부산"(으)로 총 3,0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 과기부, '블록체인의 미래' 발간 外동아사이언스 l2019.04.11
- 열었다. 올해 선정된 11개 대학은 경기대, 경남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명지대, 부산대, 세종대, 연세대, 전북대, 한림대 등이다. 산업 수요에 부응하는 데이터 융합인력 양성을 위해 '데이터 사이언스 및 인공지능(AI) 융합 기반 빅리더 양성', '지역산업 현장친화 데이터 개발·분석 연계' 과정 등 ... ...
- [과학게시판] KIO-Dream 해양과학교실 外동아사이언스 l2019.04.10
- 교육기부프로그램 중 하나로 1차는 5월 18일 인천강화갯벌센터에서, 2차는 6월 15일 부산 낙동강하구에코센터에서 진행된다. 온실가스를 줄이는 해양생태계를 주제로 특별 강연과 강 하구 생태계 현장체험을 한다. 중고등학교 재학생 및 동일 연령대의 청소년이 지원할 수 있다. 4월 10~19일 사이에 ... ...
- [과학게시판] 한국연구재단, 2019년 학술지평가 전략 및 변경사항 설명회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9.04.08
- 신청자격 평가도 도입한다. ■ 한국한의학연구원은 한약진흥재단, 대한한의사협회,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과 함께 국내 한의학과 해외 전통의학 관련 통계자료를 담은 ‘2017 한국한의학연감’을 냈다. 2009년 이래 올해 아홉 번째로 발간됐다. 행정, 교육, 연구, 산업 총 4개 부문으로 구성돼 주요 ... ...
- 한국, ITER 초전도자석 전원공급장치 개발 완료…프랑스로 운송중동아사이언스 l2019.04.03
- 계획된 모든 컨버터의 제작이 순조롭게 완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3월 30일 부산항에서 해상 운송이 시작된 ITER VS1 컨버터는 5월 3일 프랑스 마르세유의 포스항에 하역하고 5월 중순경 프랑스 남부 카다라쉬 소재 ITER 건설 현장에 도착할 예정이다. 정기정 ITER한국사업단 단장은 “ITER ... ...
- 美 서부 가뭄 유발 ‘워커순환’ 강화 원인 지구온난화 아닌 ‘자연변동성’동아사이언스 l2019.04.02
-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정의석 연구위원을 비롯해 악셀 팀머만 기후물리연구단장, 하경자 부산대 교수와 미국 마이애미대학과 국립해양대기청(NOAA), 독일 EUMETSAT 연구진이 공동으로 수행했다. 정의석 IBS 기후물리연구단 연구위원. IBS 제공 ... ...
- 대학 산학협력단 체질 개선 시동 건다동아사이언스 l2019.04.01
- 서울대와 고려대, 성균관대가 가장 많이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자회사는 고려대와 부산대, 전남대가 가장 많이 설립했다. 2기 사업의 그룹별 분류 기준과 과제당 지원액. 사진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김해 장유소각장 다이옥신 측정 과정 논란 속 '공개'2019.03.22
- 증설 반대 주민비대위가 참관을 거부한 가운데 주민협의체 간부와 일부 주민 등에게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의 다이옥신 측정 과정을 공개했다. /연합뉴스 ... ...
- 포항지진 진원지 위치·지진 후 지하수위 변화…지난해 연구와 다른 점은동아사이언스 l2019.03.20
- 연구결과다. 이는 지난해 4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이진한 고려대 교수와 김광희 부산대 교수가 발표했던 포항지진은 ‘유발지진’이라는 연구결과와 진원지의 위치 등 세부적인 측면에서 다른 점은 있으나 물 주입으로 인해 포항지진이 발생했다는 결론은 비슷하다. 조사단은 진원의 ... ...
- 포항지진 물 주입이 부른 작은 지진이 쌓여 큰 지진 불렀다(종합)동아사이언스 l2019.03.20
- 4월 발표돼 지열발전에 의한 유발지진 논란을 촉발시킨 이진한 고려대 교수, 김광희 부산대 교수의 연구와는 비슷하면서 다르다. 구체적인 진원의 위치가 훨씬 많은 데이터와 정교한 비교 분석으로 확정됐다. 이 교수팀의 논문은 물 주입이 직접 규모 5.4의 지진을 일으킨 것으로 결론 내리면서도 ... ...
-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진원 깊이 등 남은 쟁점들동아사이언스 l2019.03.20
- 주장한 연구에서는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홍 교수는 “김광희 부산대 교수 연구팀이 쓴 속도구조는 실제보다 훨씬 느리고, 그리골리 교수는 빠른 걸 썼다”며 “서로 다른 속도를 썼는데도 결과가 4㎞로 맞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쟁점은 기존에 보고된 유발지진의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