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뉴스
"
인공
"(으)로 총 7,819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로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5
인공
면역원성 세포 사멸 지질 나노입자(AiLNP)를 이용한 암 면역 치료의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이용해 만든 획기적인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진준오 울산대 교수 연구팀은 암세포에서 얻은 표면 단백질을 항원으로 이용한 암 치료 백신 기반 기술을 ... ...
"미세플라스틱, 작을수록 심장에 더 큰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23.05.25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5㎜ 미만의 작은 크기인 미세플라스틱은
인공
적으로 만들어지거나 환경에 유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풍화작용을 거치면서 만들어진다. 하수처리시설에서 걸러지지 않고 강이나 바다로 그대로 흘러 들어가 환경을 파괴한다.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물고기는 ... ...
[누리호 3차발사] 발사대 우뚝 선 누리호…성공조건은 '위성' 사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조건이라고 말한다. 주탑재체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NEXTSAT-2) 개발을 주도한 장태성 KAIST
인공
위성연구소 단장은 "3차 발사의 가장 큰 목적은 우주 탐사를 위한 위성 기술을 검증하는 것"이라며 "위성이 제역할을 해내는 것이 확인돼야 진정한 의미에서의 발사 성공이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3차 ... ...
“모르는 건 모른다”고 말한다…AI가 미학습 데이터 식별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22
뒷줄 왼쪽부터 이성주 박사과정생, 신성호 박사과정생.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인공
지능(AI)으로 하여금 미학습 데이터를 식별하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AI 딥러닝(심층학습) 모델이 답을 몰라도 가장 유사한 값을 정답으로 잘못 인식하는 문제점 해결의 단서를 제시했다는 평가다. ... ...
[씨즈더퓨쳐] 누리호 3차발사 콕 집어 ‘저녁 6시 24분’에 쏘는 이유
2023.05.21
그리고나서 누리호 기술은 민간 우주 기업에 이전된다. 미래에는 민간 우주 기업을 통해
인공
위성을 쏘아올리게 될 거라는 뜻이다. 이후 항우연은 더 뛰어난 발사체를 개발할 예정이다. 오 연구원은 "2032년에는 한국형 발사체로 달 착륙선을 쏘아올리는 게 목표"라며, "지난해 말 쏘아올린 달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수가 말라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1
나타났다. 표지에 게재한 호수는 미국 유타주와 애리조나주 경계에 있는 콜로라도강의
인공
저수지인 ‘파월 호수’다. 사진에서 육지 퇴적물 중 흰 색으로 보이는 부분은 한때 물에 잠겨 있었지만 이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인간의 물 소비, 지구 온난화, 퇴적물의 변화 등이 이같은 호수가 ... ...
마리 퀴리는 머리가 나빴다?...최고 과학자들 둘러싼 진실
과학동아
l
2023.05.20
방사성 인의 원자핵으로 변하는 것을 발견했다. 예전 연금술사들이 꿈꿨던 것처럼
인공
적인 방법으로 원소를 다른 원소로 바꾸는 데 성공했던 것이다. 1935년 졸리오-퀴리 부부는 이 발견으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이렇게 해서 퀴리 가문의 노벨상 메달은 모두 5개가 된다. 퀴리 가문의 다섯 개의 ... ...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복원 기술 지원한 한국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5.18
이용했다. 전기비저항탐사 기법과 지표투과레이더 기법이다. 전기비저항탐사 기법은
인공
적으로 지하에 전류를 흘려주고, 이때 발생한 전위를 측정해 지하의 전기저항 분포를 알아내어 지반 상태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지표투과레이더 기법은 지하에 탄성파를 발사하고 그 반사되는 파를 분석해 ... ...
해조류 성분으로 미래 '배양육' 만들까...고해상도 바이오잉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7
해조류를 활용해 고해상도의 바이오잉크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ㅇ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해조류를 활용한 고해상도 바이 ... 구조체를 제작했다“며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한 개선과 기술 고도화를 통해 실제
인공
장기와 배양육 제작 시 널리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암 백신용 AI 모델, 딥네오(DeepNeo)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7
교수가 개인 맞춤 치료용 암 백신에 사용할 수 있는 신생 항원을 예측하는
인공
지능(AI) 모델을 개발하고 웹서비스를 구축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딥러닝을 이용해 실제로 T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신생 항원을 발굴하는 AI 모델을 개발해 연구자들이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웹서비스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