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뉴스
"
차이
"(으)로 총 5,07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치 '쓴맛의 비밀' 글루코시놀레이트 신속 판별 기술 개발
연합뉴스
l
2020.11.26
채취한 10가지 글루코시놀레이트가 종류와 농도에 따라 센서에 반응하는 양상의
차이
를 분석했다. 분석 시간이 2시간 이내로 신속하고 정확도도 94% 수준에 달한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최학종 세계김치연구소 소장 직무대행은 "조작이 간편하고 신뢰도까지 확보해 쓴맛 배추 선별 등 소비자 ... ...
"국내서 '다른 유형' 코로나19 재감염 사례 확인"
연합뉴스
l
2020.11.26
확진 후 회복해다가 4월 초에 다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아미노산
차이
에 따라 6개 유형으로 구분하는데, 이 여성은 1차 때는 'V형', 2차 때는 'G형'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경증 코로나19 감염에서 회복된 후 재감염이 발생한 사례"라며 "코로나19 감염이 다른 ... ...
마음에도 상처내는 코로나19…"환자 10명중 5명 치료중 우울"
연합뉴스
l
2020.11.26
PTSD 영역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우울감과 불안감 점수에서는 다른 완치자들과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응답자들은 자신이 타인을 감염시킬 것과 이웃들에게 차별받을 것, 사생활이 공개될 것을 두려워했다. 이웃과 가족들에게서는 심리적 지지를 받고자 했으며, 정부의 정확한 정보와 ... ...
[코로나19 연구속보] 개는 코로나19 냄새를 맡을 수 있을까
2020.11.25
더 큰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르노프 교수는 또 탐지견마다 임무 능력에서
차이
가 있다고 했다. 그랑장 연구팀에 따르면 탐지견 2마리는 양성 샘플 68개 가운데 68개를 찾아낸 가운데 한 마리는 57개 사례 중 10개를 놓쳤다. 스톰과 메이플, 애셔 같은 코로나19 탐지견을 훈련시키고 ... ...
[코로나19 연구속보] 캄보디아와 일본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발견...팬데믹 기원 알려줄까
2020.11.24
99%는 동일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RaTG13과 SARS-CoV-2는 약 4% 가량
차이
가 나는데, 이
차이
는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뒤 40~70년 가량 지났음을 의미한다. 비록 수십년 가량 떨어져 있지만 이 바이러스들은 세포에 들어갈 때 같은 수용체를 사용한다. 세포 연구는 RaTG13이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음을 ... ...
[랩큐멘터리]구룡포 바다밑 누비며 정밀해도 작성한 극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100년이 걸린다는 이야기가 있다. 통제된 실험실 환경과 현장의 복잡한 환경은 하늘과 땅
차이
기 때문이다. 연구자 1명이 자신의 연구를 보여주는 로봇 하나씩을 만든다는 목표를 가진 극한환경로봇연구실은 100년이라는 시간을 빠르게 극복하고 현장에서 결과를 보이는 로봇을 선보이고 있다. ... ...
수능 가림막 높을수록 바이러스 차단 효과 크지만…어디까지나 '방역 보조수단'
동아사이언스
l
2020.11.23
8%로 나타났다. 다만 높이가 80cm일 때는 98.9%, 90cm는 99%를 기록해 높이가 달라져도 별다른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가림막 높이를 70cm까지 해도 차단효과가 충분하다는 결과다. 다른 연구기관인 에너지연과 건기연이 진행한 실험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정부는 수능 ... ...
[코로나19 연구속보] 모유(母乳)가 코로나 바이러스 막아낼 항체 만든다
2020.11.23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르다”고 말했다. 모유 항체는 이런
차이
점 덕분에 혈액에 있는 항체보다 치료제로 더 우수한 능력을 갖고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혈장에서 분리해 코로나 환자에게 투여하는 IgG 항체는 온 몸을 돌아다니지만 꼭 필요한 곳에 가지 않을 수도 ... ...
극지방 추워지면 열대 태평양 무역풍 세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있을 뿐만 아니라 남극과 북극에서 발생한 냉각 현상이 열대지역으로 전달되는 경로의
차이
를 이해할 수 있다”고 전했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위도 지역의 시뮬레이션 오차 개선을 통해 예측 오류가 빈번한 열대 지역의 오차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 ...
“5~8월 중순 ‘깜깜이 코로나 환자’가 확진자보다 일평균 6.2배”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김찬수 연구원은 “시뮬레이션 결과 5월과 8월 중순 사이 깜깜이 감염자 비중은 일별로
차이
가 있었지만 평균적으로 보고된 확진자의 6.2배에 달한다는 분석”이라며 “현재 신천지에서처럼 대규모 집단감염은 없지만 지속적으로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볼 수도 있을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