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목표"(으)로 총 2,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2.03.19
- 핵심 분야인 세포치료와 재생의료시스템, 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의약산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도지사는 “오송에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세계적인 수준의 정주여건을 만들 계획”이라며 “올해 7월에 착공할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를 비롯한 오송 역세권 개발을 추진 중인 것도 이런 ...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동아사이언스 l2012.02.13
- 만들어 충분한 토양을 만들어 주려 합니다.” 올해 2단계가 시작되는 ‘Bio-Vision 2016’의 목표는 우리나라가 바이오 분야에서 세계 7위 기술 강국에 진입하는 것이다. 양 국장은 “기초연구뿐 아니라 산업화까지 동반 선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양성광 국장의 ...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동아사이언스 l2012.01.24
- 개발하겠습니다. 기업들이 싼 값에 고품질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지난 해 12월 22일,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안전성연)’ 기관장으로 부임한 이상준 소장(57·사진)은 원래 의약품 분야 ‘사업화 전문가’다. 중앙대에서 약학대 박사 ... ...
- “IT역량 활용해 바이오헬스산업 육성해야”동아사이언스 l2012.01.09
- 업계에 투자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도 BT 분야 세계 7위 기술강국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 정책관은 특히 바이오헬스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의약, 의료기기, 의료서비스를 포괄하는 이 산업은 웰빙(Well-Being)이 보편화됨에 따라 인류에게 꼭 필요한 핵심 산업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동아사이언스 l2011.12.05
- 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1단계 추진실적을 종합하고 2012~2016년에 진행될 2단계의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바이오 분야 중복 사업 너무 많다 산학연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패널들은 ‘생명과학’, ‘보건의료’, ‘농림수축산·식품’, ‘산업공정/환경·해양’, ‘바이오 ...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동아사이언스 l2011.11.07
- 백신이 조만간 등장할 것”이라고 운을 뗀 뒤 “주사제가 아닌 먹는 형태의 태블릿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헬리코박터균은 어른들에게는 위궤양이나 위암 등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지만, 어린이들에게는 피부 알레르기나 천식 등을 억제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를 ...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1.11.01
- 했다. ●국가연구기관은 기초연구 강화해야… “사업화는 오송에서 맡겠다” “우리의 목표는 ‘사업화’입니다. 그리고 신약개발 분야에서 정부기관, 대학의 역할은 첨단기초과학을 연구하는 겁니다. 제품을 만드는 ‘생산기술’은 기업의 몫이죠. 그 중간단계에서 ‘사업성’을 고려하고 필요한 ...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동아사이언스 l2011.10.17
- ‘이것만은 꼭!’ △정부 계획대로 R&D 투자가 될 수 있도록 재정 확보 필요 △R&D의 목표는 젊은 과학자의 육성 박광열 국장은 -1989년 경기대 행정학과 학사 -1997년 영국 웨일즈대 해양정책 석사 -1998년 영국 웨일즈대 국제교통학 석사 -2001년 해양수산부 행정사무관 서기관 -2007년 국토해양부 ... ...
- 바이오 산업이 지구온난화-급등하는 기름값의 해법동아사이언스 l2011.09.27
- 말레이시아에서 분리리해낸 균주에서 오메가3를 추출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연구단 최종 목표는 기술의 상용화에 있다. 양 단장은 상용화를 위해서는 우선 다양한 기술장벽을 뛰어 넘어야 하는데 이는 국제협력으로 풀어가고, 그 이후 실용화 단계에 들어서면 기업 참여를 유도해 해결하겠다는 ...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동아사이언스 l2011.07.20
- 네트워크들이 한국의 모든 산학연 기관과 자유롭게 교류하는 수준으로 올리는 게 센터의 목표”라며 “활발한 소통을 위한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