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1,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08
- 인간과 유인원 가족인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그리고 오랑우탄이 있습니다. 그 결과 오랑우탄이 인간의 특징을 가장 적게 갖고 있고, 보노보와 침팬지의 DNA는 98% 이상이 우리와 같았습니다.이런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은 인류가 어떻게 나뉘었는지 알 수 있게 됐습니다. 인류 집단의 이동도 알게 된 ... ...
- [가상인터뷰] 개미 사회의 스파이, 반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10년 동안 반날개를 채집했어요. 그리고 DNA 서열을 분석해 진화 계보를 만들었지요. 그 결과 반날개는 1억 500만 년 전의 백악기 때부터 개미와 닮은 모습으로 진화한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원래 반날개는 독립적으로 살면서 개미를 먹었는데, 개미 사회에 위장해 들어가면 더 풍부한 먹이를 먹을 수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07
-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풍동실험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며 빠른 시간에 결과를 알 수도 있다.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은 자동차뿐 아니라 배나 비행기, 공기나 물의 흐름과 관련 있는 현상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출전하는 스키점프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07
- 2mm로 설계했습니다. 돛대는 가벼우면서도 튼튼해야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거든요.그 결과 요트의 최고 속도를 개선한 건 물론, 지그재그로 움직일 때의 각도를 줄여 같은 거리도 더 짧게 항해할 수 있었습니다. 보통 대회용 요트는 좌우가 45° 이상이 되도록 지그재그로 움직이며 바람이 부는 쪽으로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07
- 나머지는 모두 자신의 생일이 아닌 다른 숫자를 보고 실망할 겁니다.그런데 이 결과를 익숙한 한 세계 해석으로 풀 수도 있습니다. 단 하나의 세계에서 100만 가지 사건 중 한 가지 사건만 일어나도 여전히 주사위 면에 내 생일인 980728이 나올 확률은 100만 분의 1입니다. ‘나’가 주사위 면에서 내 ... ...
- [에디터 노트] 백신 불신이라는 미신과학동아 l201707
- 매우 높은 확률로 사실이 아닙니다. 그게 데이터와 통계, 그리고 광범위한 과학적 연구 결과가 교차 검증을 통해 알려주는 유일하게 믿을 만한 결론입니다.백신은 자신은 물론 속한 사회를 건강하게 지켜주는 강력한 방어막입니다. 직접 백신을 맞지 못하는 신체적 약자까지 함께 보호해 주는, ... ...
- [과학뉴스] 크리스퍼, 표적 외 다른 유전자에 변형 일으켜과학동아 l201707
- 확인했다.연구팀은 크리스퍼로 유전자 교정을 한 실험 쥐의 전체 유전자를 확인했다. 그 결과 의도한 표적 유전자는 성공적으로 교정됐지만, 나머지 유전자에서 1500개 이상의 단일 뉴클레오티드 돌연변이와, 100개 이상의 큰 유전자 결실 및 삽입 돌연변이가 발생했다. 공저자인 미국 컬럼비아대 ... ...
- [과학뉴스] 까마귀도 배신자를 기억한다과학동아 l201707
- 흔히 기억력이 안 좋은 사람에게 ‘까마귀 고기를 먹었느냐’고 이야기 하는데, 이 비유가 과학적으로 맞지 않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사회 안에서 어떻게 관계를 맺고 행동하는지를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동물 행동’ 6월호에 게재됐다. doi:10.1016/j.anbehav.2017.04.00 ... ...
- [과학뉴스] 물은 정말 무(無)맛일까?과학동아 l201707
- 빈 물통을 놓고, 물통을 건드릴 때 마다 신맛 수용체를 자극하는 푸른 빛을 쪼였다.그 결과 쥐가 빈 물통으로 다가가 실제로 물을 마시지 않았음에도 계속 물통을 핥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는 신맛 수용체가 물을 인식한다는 명확한 증거”라고 말했다. doi:10.1038/nn.457 ... ...
- [과학뉴스] 30만 년 전에 태어난 현생인류!과학동아 l201707
- 북부에서 발견됐다. 현생인류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이정표가 등장한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6월 7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ature2233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