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d라이브러리
"
멸종
"(으)로 총 8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
과학동아
l
201404
생명력 말입니다. 비결이 무엇이었든, 꽃은 살아 남아 지구의 식생을 다양화했습니다.대
멸종
을 겪은 생태계는 빠르게 변했습니다. 이후 1000만 년 간 지구 기온은 점차 상승해 울창한 열대 우림이 퍼졌고, 꽃식물은 더 화려한 꽃과 열매를 만들었습니다. 곤충이 모여들었고 그 곤충을 먹으려는 ... ...
INTRO. HOMO SAURUS
과학동아
l
201403
불러도 대답 없는 그 이름, 공룡. 과거에는 거대한 뼈밖에 몰랐지만 이제는 삶까지 이해하는 수준이 됐다. 짝사랑의 페이스북을 몰래 보듯이, 공 ... 담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PART2.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과학동아
l
201403
운석 충돌 후 새로운 식물이 많이 자라기 시작했다. 주로 고사리 같이 생기고 매우 질긴 식물들이었다. 옛날의 꽃식물에 비해 영양가가 부족한 ... 지배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인공위성이 바닷속 고래도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3
초
멸종
위기에 처했다가 최근 개체수가 서서히 늘고 있는 보호종. 그간 생태학자들은
멸종
위기종인 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배나 비행기를 이용해 개체수와 서식지를 조사해 왔지만 한 번에 조사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 비용이 많이 들고 정확도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연구진은 해상도 50cm급인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
과학동아
l
201403
백악기 말. 지구는 아직 따뜻하다. 비록 2500만 년 전(기사 시점 기준. 지금부터 9000만 년 전)부터 기온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고 그래서 백악기 ... 수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
과학동아
l
201403
현대 공룡 연구의 대세는 뭘까. 새로운 공룡을 발견하는 것? 그렇지 않다. 요즘 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은 공룡의 생태를 밝히는 것이다. 예를 들 ... 전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HOMO SAURUSPART1. 백악기 마지막 날PART2.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 ...
INTRO. 인류는 전쟁을 멈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2
총력을 기울여야 했던 첫 번째 대규모 전쟁이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을 거쳐, 인류를
멸종
시킬 수 있는 핵무기를 개발하는 등 전쟁은 계속됐다. 인간은 대량학살을 수반하는 전쟁을 계속해야 하는 것일까.다행히도 오랜 기간 값비싼 경험과 지혜를 축적한 인간들은 ‘전쟁’과 ‘평화’ 중에 ... ...
2014 말의 해
멸종
대신 사람을 선택한 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1
없단다.사실 말과 사람은 서로 좋아하면서도 증오하는 애증의 관계야. 사람들 때문에
멸종
될 뻔하다 6000년 전쯤 가축으로 변신해 살아남았거든. 개가 3만 2000년 전에, 소가 1만 년 전에 가축이 된 것과 비교하면 많이 늦긴 해. 사람들이 우릴 다루기 힘들어 했던 것 같아. 하지만 우린 굉장히 사회적인 ... ...
그 많던 공룡 배설물은 누가 다 치웠나
과학동아
l
201401
교수는 “바퀴벌레는 중생대를 지배한 곤충 가운데 하나였다”며 “초식공룡이
멸종
하면서 블라툴리다에도 먹이를 잃었지만, 지금도 일부 바퀴벌레는 박쥐와 공룡의 후손인 새의 배설물을 먹는다”고 말했다 ... ...
새로운 공룡이 쿵쿵쿵! 다이노소어 어드벤처 3D
어린이과학동아
l
201323
헐~ 공룡은
멸종
된 게 아니라고?공룡은 약 6600년 전에
멸종
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사실
멸종
되지 않았어. 친구들과 함께 살고 있지. 도대체 어디 숨어있냐고? 숨어있지 않아. 자유롭게 하늘을 날고 있단다. 친구들과 함께 살고 있는 공룡은 바로 새야. 공룡이 새로 진화한 거지. 최근 연구 결과 깃털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