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동
d라이브러리
"
북소리
"(으)로 총 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생활에 활용되는 캐나다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006
세계 각국에서 뉴미디어의 총아 비디오텍스가 각광을 받고 있는 속에 캐나다가 비디오텍스 선진국이 된 비결은 무엇인가?터론토는 온테리오호 북쪽연안에 있는 인구 약2백만의 도시. 상공업 중심지로서 평온한 분위기 속에서도 활기를 느끼게 하는 도시다.이곳에 캐나다 최대의 명물이 하나 있다.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11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를 이해하는 일은 매우 흥미롭다. 그렇지만 우리가 중ㆍ고등학교에서 배웠던「지구과학」은 이해하기 힘든 개념과 복잡한 수식으로 얼룩져 있다.많은 사람들은 일식, 월식에 관하여 알고 있을 것이다.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거의 원형의 궤도로 1년 걸려 1회전을 하고 달은 한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10
화산재가 함께 고결되어 있어 암석 속의 빈 구멍이 많다. 이 때문에 망치로 치면 '둥둥'
북소리
가 난다. 암석은 손으로도 부술 수 있을 정도로 무르다.천지의 수면은 매우 평온하며 수심의 변화 진폭은 평균 1.2~1.7m이고, 총 저수량은 20억t이다. 천지의 물은 70%가 강수(降水)이고 30%는 용천수이다. 이 ... ...
뱀의 천국이 된 「괌」도
과학동아
l
198910
괌도에는 30여종의 새들이 살고 있고 이 가운데 22종은 이곳에만 사는 토착종이다. 그런데 지난 70년대초부터 숲속에서 새소리가 줄어들더니 현재 2종은 완전히 멸종했고 나머지도 거의 멸종지경에 이르렀다. 미국동물학자들은 그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여러모로 연구했으나 알아내지 못했다. 그런중 ... ...
온실효과로 균열·이동시작
과학동아
l
198910
남극 얼음벌판에서 요란한 드릴 소리를 내며 구멍을 뚫는 학자들이 있다. 이들은 석유를 찾으려는 것도 아니고 금을 캐려는 것도 아니다. 2천4백파운드의 힘을 가진 드릴로 이미 1㎞ 이상 파 들어갔다.남극대륙에는 세계 각국에서 모인 학자들이 물개에서 잡초, 돌멩이까지 귀중히 생각하며 여러가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09
흑점 코로나 플레어 루프 태양상수 태양풍 뉴트리노 등 태양과 관련된 여러 현상들의 실체는 무엇일까?흑점의 11년 주기란?태양표면에 나타나는 흑점의 개수가 주기적으로 증감한다는 사실은 12년간의 대 관측결과를 정리한 '슈바베'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발견은 당시의 사람들에게 ... ...
실생활에 긴요한 제품의 홍수
과학동아
l
198908
미국의 제2 도시 시카고의 맥코믹 센터 노스와 이스트 그리고 센터 빌딩에서 지난 6월 세계 최대의 가전제품 쇼가 개최되었다.매년 여름과 겨울 두 차례에 걸쳐 라스베이가스와 시카고에서 정기적으로 열리고 있는데 이번 하계쇼는 40회째.실용·독창성이 중요전 세계 70여개 국에서 5천5백여명의 ... ...
part I 컴퓨터가 바꿔놓은 출판문화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8908
중소인쇄소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서울 을지로일대의 인쇄골목에는 최근 몇년새 풍속도가 바뀌고 있다.조용히 보이지않게 불어닥친 바람. 그러나 날로 번창해가는 업체와 쇠퇴해가는 업체를 명확하게 갈라 놓고 지나가버린 매서운 바람. 출판인쇄계에‘전자출판’이라는‘제2의 활자혁명’이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08
아메리카의 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한 서부영화는 언제 보아도 재미있다.넓은 들판을 꽉 메우고 돌진하는 검은 들소떼들, 그 사이를 텁석부리 카우보이들이 말을 타고 달리며 쏘아대는 총탄 세례가 한바탕 소란을 피우는 장면은 통쾌하고 박진감을 준다.인디언과 백인의 혈투, 서부개척사에서 끊임 ... ...
지하생활
과학동아
l
198907
인구가 너무 밀집되어 땅값이 성층권으로 치솟고 있는 일본은 밑으로 즉 지하로 이동하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이들은 지하 하수 시설, 지하 철도, 나중에는 지하도시 건설에 착수하려는 계획을 하고 있는 것이다.실제로 이것은 그리 터무니없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이미 지하철이라는 지하철도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