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d라이브러리
"
수증기
"(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요정이 사는 세계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이슬이 되어 맺히다가 얼어붙는다. ▲겨울철 서리의 모습. 서리는 영하의 추운 겨울철
수증기
가 이슬이 되어 땅에 내렸다가 얼어붙어 생기는 것이다. 서리가 생길 때의 기온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서리가 생길 수 있다.예술이 된 얼음너무 추워~! 이번엔 날 또 어디로 데려온 거야? 우리나라 맞아 ... ...
구름을 타고 날아라~! - 서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온도가 높아지거든요. 근두운의 온도가 높아지면 당연히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들이 모두
수증기
가 되어 공기 중으로 날아가 버릴 거예요. 지구 밖에서 날아드는 작은 유성들이 공기와의 마찰 때문에 불꽃을 내며 사라지는 것처럼요. 결국, 손오공이 근두운을 타고 다니는 것은 순전히 소설이나 만화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02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APR1400 개발과정에서 한수원과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자들은
수증기
와 냉각수의 상호 작용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없이 반복해야 했다. ARP1400의 실물을 5분의 1로 축소한 ‘MIDAS’라는 모의실험장치도 만들었다.한국 원전이 프랑스를 누른 비결에는 첨단 정보기술(IT)의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02
같은 방수투습 원단을 옷감에 접착하거나 코팅한다. 이 원단에는 물 분자보다 작고
수증기
분자보다는 700배 정도 큰 구멍이 거미줄처럼 뚫려 있다. 외부의 물 분자는 구멍에 막히거나 원단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들어오지 못하지만 내부에서 생긴 수분은 몸을 움직일 때마다 내부공기와 함께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01
관측 및 감지 위성인 엘크로스(LCROSS)에서 분리된 로켓이 크레이터에 충돌하면서
수증기
와 얼음의 고유한 스펙트럼이 관측된 것. 아울러 일산화탄소, 메탄, 메탄올의 존재도 확인돼 물과 얼음이 과거 달에 충돌한 혜성이나 소행성에서 왔음을 시사하고 있다.유전자치료 부활작동하지 못하는 유전자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01
사실도 알아냈다. 미국 햄프턴대 제임스 러셀 박사는 “야광운이 먼지 입자와
수증기
가 대기 중으로 올라가 차가운 대기 중간층과 만나 얼음이 되면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재미있는 사실은 북반구와 남반구가 여름과 겨울일 때, 또는 그 반대일 때 야광운에 변화가 생긴다는 ... ...
완전궁금! 올 여름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2
다만 집중호우가 특히 잘 생기는 곳을 미리 짐작해 볼 수는 있어요. 바로 산이 있는 지역!
수증기
를 잔뜩 머금은 공기가 움직이다가 산을 만나면 산을 타고 위로 올라가서 비구름이 되거든요. 실제로 지난 100년 동안 태백산맥 주변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 ...
용궁 긴급회의 바다의 사막화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1
자연스러운 물 흐름을 막는 것도 갯녹음의 원인이 된다. 바닷물은 증발하면 대기 중에
수증기
로 머물다가 다시 빗물로 내린다. 빗물은 다시 육지의 미네랄 성분을 담아 바다로 들어오는데, 이 물이 수온과 염분을 낮추고 영양염을 공급해 해조류가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하지만 무분별한 개발로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11
사막 공기의 고작 1억 분의 1 정도만큼
수증기
를 포함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니 희박한
수증기
가 먼지 입자에 붙어 구름이 형성되려면 온도가 아주 낮아야 한다. 무려 영하 120℃ 아래로 떨어져야만 한다.야광운이 대류권 위의 성층권이 아니라 중간권에 생기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성층권은 ... ...
무한한 바닷물로 한반도 가뭄 해결!
과학동아
l
200910
”해수를 담수로 바꾸는 노력은 예전부터 있었다. 특히 해수를 끓이면 나오는
수증기
를 모아 담수를 얻는 ‘증발’ 방식은 이미 한국이 세계 1위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김 교수가 제안하는 방식은 이와 다르다. 해수를 얇은 막에 통과시켜 염분을 걸러내는 ‘역삼투’ 방식이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