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리"(으)로 총 2,4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09
- 비율로 나타낸다는 것은 곧 자연수를 합리적으로 다룬다는 의미다. 이런 이유로 유리수의 집합을 비율을 뜻하는 라틴어 ‘quotiens’의 첫 글자인 Q로 표시하기도 한다.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눠지는 정수인 ‘소수(素數; 근본이 되는 수)’도 마찬가지다. 영어의 ‘Prime Number’(주요 수)를 직역한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09
- 우리나라처럼 남북으로 긴 나라의 지도를 그릴 때는 원통을 눕혀서 투영하는 게 유리하다. 좌우로 넓은 북반구 대륙의 지도는 종이를 고깔 모양으로 말아 지구에 씌워 투영하는 방법으로 만든다.지구를 평면에 투영하면 땅의 모양은 물론 땅의 넓이, 두 점 사이의 거리도 달라진다. 안타깝게도 세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09
- 정의 역의 길이, 즉 무리수의 측도와 2를 곱한다. 함수 값 1에 해당하는 정의역의 길이, 즉 유리수의 측도와 1을 곱한다. 둘을 더한 값이 바로 르베그 적분이다. 이렇게 구한 적분은 다시 미분한다고 해서 원래 함수가 되지 않는다. 물론 리만 적분이 가능한 함수라면 르베그 적분과 값이 동일하며, 이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09
- 개(XX)’나 전달할 수 있다. 유전자 싸움에서 암컷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수컷에게 유리한 정액 단백질 유전자는 Y염색체가 아니라 상염색체 위에 있다.경쟁이 다는 아니다서로 다른 종 사이의 경쟁이나, 동성 개체 사이의 경쟁은 우리에게 익숙하다. 하지만 암컷과 수컷이 서로 경쟁한다는 ...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과학동아 l201509
- 역사였다.서양에서 가장 먼저 나온 정밀한 온도체계는 화씨온도(℉)다. 1724년 네덜란드의 유리세공업자 화렌하이트는 두 개의 온도 기준을 잡았다. 1기압에서 물이 어는점을 32 ℉, 끓는점을 212 ℉로 정하고 두 점 사이를 180개의 눈금으로 나눴다. 과거와 비교하면 엄청나게 정교해졌지만, 사용하기 ... ...
- [Hot Issue] 통계물리학 실험실에서 찾은 더 지니어스 생존법과학동아 l201509
- 해법이다. 내가 이길 때는 흰색 1로 검은색 0을 이기고, 질 때는 상대의 8에 0으로 지는 게 유리하다는 것이다.손 : 게임이론으로도 증명된 전략이다. 올해 초에 ‘피지컬 리뷰 E’에 내가 발표한 논문을 예로 들어보겠다. 월드컵 4강에 오른 팀의 감독이라고 가정하자. 준결승에 오를 정도면 상대도 ... ...
- 달콤한 소주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08
- 번 마셔보고 판단해 보세요.” 길쭉한 유리병 두 개에는 각각 투명한 액체와 반투명한 자주색 액체가 담겨 있었다. 쌀로 직접 빚은 소주라고 했다. 슬쩍 시계를 봤다. 오전 10시 30분이었다. 눈 딱 감고 한 모금을 꿀떡 삼켰다. 투명한 소주를 마시자 “캬~”소리가 절로 나왔다. 반면 자주색 소주는 ...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과학동아 l201508
- 보고 깜짝 놀라서 몸을 피하는 것은 육아를 책임지던 여성이나 혹은 어린아이에겐 유리한 반응이다. 반면 맹수와 싸워서 가족을 지켜야 했던 남성에게는 불리한 반응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반응은 심리적인 성적 이형성(Sexual dimorphism)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진화적으로 여성은 쉽게 놀라는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08
- 원반의 수직 방향 하늘로, 은하수의 영향을 가장 덜 받기 때문에 먼 우주를 바라보기에 유리하다.우리의 여행은 35억 년 전 지층 위에 천체망원경을 설치하면서 시작됐다. 이곳에서는 시선이 길게 내달린 뒤에야 지평선에 걸려있는 태양을 볼 수 있다. 그곳에서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뚝 가라앉는다.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08
- 221년이다. 즉 221년 동안 딱 한 번만 만나기 때문에 서로 같은 종끼리 번식하기에 유리하다는 것이다.하지만 단 여섯 종의 사례로 모든 매미가 이 주기를 따른다고 할 수는 없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북아메리카와 달리 매년 여름마다 매미를 볼 수 있다. 그래서 알부터 유충, 성충이 될 때까지 자세히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