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대륙
대지
지면
뭍
지상
토지
d라이브러리
"
육지
"(으)로 총 7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08
상승한 바닷물이 다시 수면을 수평으로 맞추기 위해 주변으로 퍼지는데 바닷물이
육지
에 가까워지면서 파고가 높아졌다. 보통 해저의 산사태나 해저 화산, 운석이 바다에 충돌할 때도 해일이 발생할 수 있지만 지진으로 발생할 때가 위력이 가장 크다. 바닥에서부터 힘을 받아 물기둥 전체가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07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눈 용오름’이라 부른다.
육지
에서 발생하는 용오름도 있다.
육지
용오름(landspout)은 지표면과 공중에 있는 공기의 온도차로 생긴다. 대부분 15분 안에 소멸하며 강력한 것은 토네이도의 F3 등급에 해당할 만큼 피해를 주기도 한다.돌풍용오름이라고 부르는 거스트나도(gustnado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07
해상도가 높아진다. 해상도를 높이려면 그만큼 많은 초기 값(관측 값)이 필요하다.
육지
는 현재 조밀하게 설치된 자동기상관측장비(AWS)로 많은 관측값을 수집하고 있지만 해양이나 산악, 대기 상공 등은 위성과 레이더 같은 원격 장비로 얻은 관측 자료로 채워 넣고 있다. 하지만 이런 자료를 모두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제가 지금부터 설명해 드릴게요.수압을 이기는 ‘지오데식 돔’해저는 중력만을 받는
육지
와 달리 모든 면에서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해저 건축물은 어떤 방향에서 힘을 받든 그 힘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야 한다.그런 면에서 지오데식 돔은 최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빈틈없이 맞닿아 있는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07
50°’라고 일컬을 정도다. 이 지역에는 편서풍이 계속 부는데, 이 바람을 방해할
육지
가 없어 지구에서 가장 강한 바닷바람이 분다. 바람이 센 만큼 그 세기에 비례해서 바다 거품도 가장 많이 발생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비눗방울 수학이 방울방울~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하지만 지진이 발생한 지 10분도 채 지나지 않아 높이 23m에 이르는 거대한 쓰나미가
육지
에 다다랐다. 150㎞나 되는 긴 해안선을 따라 몰아닥친 쓰나미는 도로와 논밭, 마을을 뒤덮었고, 한 시간 후에는 공항까지 집어 삼켰다.오후 4:36원자력 긴급사태 선포!지진 발생과 동시에 지진 발생 지점에서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06
핵심이다. 밀물 때 바닷물이 밀려들어와 날개를 회전시키면 전기가 만들어진다. 이는
육지
의 댐에 설치된 수력발전기와 똑같은 원리다. 시화호 조력발전소에는 지름이 8.2m, 길이가 17m인 물방울 모양의 수차발전기가 10대 설치돼 있다.수차발전기 설치 과정은 발전소 부지의 물을 모두 뺀 상태에서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05
하지만 한반도 해안에 고선량 방사선 오염이 일어날 가능성은 높지 않다. 우선 연안에는
육지
를 향해 부는 파도가 강하다. 장병욱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은 “방사성 물질이 일본에서 먼바다로 나가려면 우선 이 파도를 극복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고 말했다.일단 근해로 나간 물질은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05
기상연구사는 “큰 지진은 10년이 넘어도 여진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육지
에서 일어나는 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20km 이내로 얕은 편인 반면, 해양지각 지진은 690km 지하에서도 발생한다. 대륙지각은 온도와 압력이 높아 암석이 유연한 상태로 변형돼 있어 지진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05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바다 고유의 정보를 수집하기 어렵다.독도 과학기지는
육지
에서는 220km나 떨어져 있다. 먼 바다에 거대한 구조를 설치하는 일은 한국 기업의 뛰어난 해양토목 기술 없이는 불가능하다. 민 선임연구원은 “해외에서는 이렇게 먼 바다에 관측 기지를 세우는 일이 거의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