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5,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10
- 분해돼 소장에서 흡수된다. 과학자들은 소장 어딘가에 영양소를 감지하는 센서가 분명 존재할 것으로 추정하고 연구했는데, 2005년 그 센서가 바로 맛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인 것이포도당을 감지하는 단맛 수용체다. 포도당은 소장 표면에서 포도당 운반을 담당하는 단백질SGLT-1에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10
- 인류는 과연 이 광활한 우주에서 외톨이일까, 아니면 우주 어디에서나 생겨날 수 있는 존재일까. 만약 흔한 현상이라면, 인류는 왜 수억 개의 외계문명 중 단 하나도 아직 만나지 못한 걸까. 반대로 우리은하에, 더 나아가 우주 전체에 인류 이외의 다른 외계문명이 없다면, 인류는 왜 이토록 특별하게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10
- 다르다. 우리는 총 32개의 영구치를 갖고 있는데, 모든 치아가 똑같이 생긴 사람이 존재할 확률은 0에 가깝다. 특히 최근엔 보철 등 치과 치료를 많이 받는데, 이런 치료 흔적의 위치와 모양까지 우연히 같은 사람을 찾는 건 하늘의 별따기다.엑스선 사진 없이 치과 진료 기록만 남아 있더라도 치아는 ...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10
- 잡종 개체를 번식시켰던 것이다. 침팬지와 보노보는 언제든 하나가 될 수 있는 형제 같은 존재인 셈이다. 폭력의 대명사? 종족을 지키려는 고단한 아빠?외모나 기본적인 사회 시스템에서 비슷하지만 침팬지와 보노보의 행동양식은 상당히 다르다. 다르다는 표현으론 부족하고, 마치 서로 반대로 ... ...
- [Editor’s Note] 성급함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610
- 시즌이 왔다. 과학기자에게 노벨상은 미묘한 존재다. 도처에서 ‘노벨상 타령이 과학계를 오히려 멍들게 한다’는 질타를 듣는다. 노벨상이 수~수십 년 전 연구 성과를 갈무리하는 전형적인 후행지표이며, 따라서 결코 현재나 미래의 과학수준을 알려주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다. 일리 있다. 하지만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10
- 대처할 수 있는 모델이 아니라서다. 회귀 모델은 통계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에 과거에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가 없다. 요즘과 같이 이상 기후가 계속될 때는 더더욱 예측이 어렵다. 올해만 해도 9월 평균 기온이 작년보다 2°C 가까이 높고, 강수량은 현저히 적은 등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10
- 포함해 LMB의 모든 문화와 시설, 조직은 연구자 사이의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다지기 위해 존재한다”고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업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 경험했기 때문에, 연구소의 모든 조직과 구조는 협업을 장려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20년째 LMB에 몸담고 있는 얀 로웨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10
- 말과 몸짓이 되려 자신을 감싸고 위무하는. 전 인류에겐 ‘골든 레코드’가 어쩌면 그런 존재가 아닐까.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와 2호에는 골든 레코드라고 불리는 지름 약 30cm의 금빛 LP레코드 판이 붙어 있다. 외계문명에게 보내는 메시지다. 지구를 대표할 음악 27곡, 55개 언어로 된 인사말, 생명의 ... ...
- [과학뉴스] 책을 펼치지 않고도 읽는 ‘독책술’과학동아 l201610
- 영역을 거친 테라헤르츠파는 각기 신호가 달라진다. 게다가 전파가 종이와 종이 사이에 존재하는 약 20μm의 빈 공간을 지나는 동안 반사와 굴절이 일어나면서 각 페이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연구팀은 이 신호를 수신한 뒤 알파벳으로 변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20페이지 중에서 ...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과학동아 l201610
- 흑진주 양식 기술은 교재도 없고, 관련 논문에도 자세히 서술돼 있지 않아 기술자의 존재가 무척 중요하다. 이곳 역시 김 연구원이 없으면 삽핵과 같이 세심한 기술이 필요한 과정은 진행할 수 없다.학생들이 실습한 삽핵은 진주조개의 생식소에 진주가 될 핵(조개 껍질을 뭉쳐 동그랗게 만든 것으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