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설
눈발
눈
백설기
d라이브러리
"
흰눈
"(으)로 총 493건 검색되었습니다.
200년 만에 돌아온 다윈
과학동아
l
200812
“나는 갑작스런 죽음에 대비해 이 글을 쓰고 있소. 이 초안을 좀 더 수정하고 내용을 보충해 발행해줄 수 있는 유능한 편집인을 찾아 비용으로 400파운드를 주기 바라오. 편집인은 박물학자 겸 지질학자라면 좋겠소. 라이엘 씨가 가장 좋겠고 다음으로 후커 박사에게 부탁해 보시오.”이 글은 1844년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10
프랑스 속담에 ‘새 둥지를 만드는 일 빼고 인간이 못할 일은 없다’는 말이 있다. 새 둥지가 그만큼 정교하다는 뜻이다. 프랑스 새는 얼마나 똑똑하길래 이런 속담이 생긴 걸까. 우리나라에서는 머리 나쁜 사람을 흔히 새에 비유하지 않는가.이런 질문을 출발점으로 새 둥지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 ...
매혹적인 미인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10
"그린다는 것이 무엇이냐?"(김홍도)"그린다는 것은 그리워하는 것입니다.그리움은 그림이 되고,그림은 그리움을 부르지요."(신윤복)- 소설 ‘바람의 화원’ 중에서 -조선 후기 대표적 화가 김홍도(金弘道, 1745년~?)와 신윤복(申潤福, 1758년~?)이 21세기적 상상력으로 책과 스크린에 살아났다. 필자도 소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9
“어이쿠, 이를 어째. 평생 모은 내 돈이 감쪽같이 사라지다니!”철통 보안으로 유명한 왕튼튼 은행 앞에서 어이쿠야씨의 울먹이는 소리가 들린다.“나도 몰라요. 저는 정말 모르는 일이라니까요~!”곤란함이 묻어나는 나드몰라 은행장의 목소리도 함께 들린다. 이게 대관절 무슨 소동이지? 사건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09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87.4km 떨어져 있는 섬 독도(獨島). 그 이름은 돌의 방언인 독에서 따와 돌섬이라는 뜻이다. 독도는 노랫말처럼 ‘외로운 섬’이 아니다. 동도와 서도뿐 아니라 89개의 작은 섬으로 구성돼 있다. 물론 이 모든 섬을 다 합해도 여의도공원의 넓이에 못 미치고 배에서 내려 동도를 ... ...
아찔 아찔~! 놀이기구는 진화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9
( )는 세 가지 방법하나. 공중에서 평균 시속 100㎞로 마음대로 달려 본다.둘. 20층 높이에서 3초 만에 훌쩍 떨어지다가 갑자기 멈춰 본다.셋. 허공에서 빠르게 왔다 갔다 해 본다.빈 칸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 슈퍼맨이 체력을 테스트하는 세 가지 방법?지옥에서 벌 받는 세 가지 방법? 지난 밤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08
카니스 파밀리아리스(Canis familiaris).개의 학명이다. 사람과 가장 친한 동물이라서일까. 속명 Canis는 라틴어로 ‘개’란 뜻이고 종소명 familiaris는 ‘친숙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개는 사람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동물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개가 4억 마리 정도 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
안녕~! 난 점프의 명수 혹등고래란다. 유엔이 정한‘2008년 지구의 해’를 맞아 친구들을 찾아왔지. 지구의 해에 중요하게 꼽힌 주제 중 하나는‘지구와 생명’이야. 특히 생물 다양성의 기원에 대해 주목하고 있어. 생명의 기원은 바다! 그럼 바다에서 태어나 긴 세월 진화를 거쳐 육지로 갔다가 다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07
아프리카는 화려한 색깔의 대륙이다. 가슴이 터질 것 같이 푸른 하늘과 손에 잡힐 듯한 구름, 다양한 색깔의 꽃들과 사바나의 야생동물들, 그리고 그들의 흑색 피부는 완벽한 조화를 이룬다. ‘어린왕자’ 속 천덕꾸러기 바오밥나무아프리카 동남부를 여행하면서 마을 어귀나 우거진 숲속, 세렝게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 나빌레라.”조지훈의 시 ‘승무’를 보면 한국인들이 날개를 접고 있는 나비에서 순수한 아름다움의 상징을 찾았음을 알 수 있다. 우리 속담에 ‘나비가 꽃을 희롱한다’는 말도 있고, 꽃 위에서 어른대는 두 마리의 나비를 보면서 남녀 간의 사랑 놀음을 상상하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