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닥"(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과학동아 l2009년 11호
- 것도 모두 광통신 기술이 뒷받침돼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현재 광통신 기술은 광섬유 한 가닥으로 CD 200장에 담긴 내용을 1초 만에 보낼 수 있다. 하지만 광섬유는 이보다 몇 배 더 많은 정보를 보내기에도 충분하다. 미래의 광통신이 더욱 더 기대되는 이유다.세상을 디지털로 보는 눈, ...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끝에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지 않은 CCCCAA가 20~70번 반복돼 있기 때문에 DNA 합성효소가 DNA 가닥 전체를 복제하지 못하더라도 DNA가 가진 유전정보는 모두 복제할 수 있다.성균관대 의대 진단검사의학과 김종원 교수는 “각 종마다 텔로미어의 염기서열과 길이는 서로 다른데, 사람 염색체에 있는 ...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관찰했다. 녹다운이란 특정 유전자의 mRNA에 결합할 수 있는 짧은 RNA가닥을 세포에 집어넣으면 mRNA에 달라붙어 단백질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못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의도대로 녹다운 조작을 한 금화조의 영역X에서는 FOXP2 단백질이 정상의 30% 정도만 만들어졌다. 그 결과 어떤 ... ...
- DNA가 만드는 삼차원 도형!수학동아 l2009년 10호
- 힘과 누르는 힘을 전체 결정에 골고루 나눈 매우 안정한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 DNA 가닥 끝 부분은 접착제처럼 끈끈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다른 삼각 결정구조에 달라붙을 수 있습니다. 그 결과 만들어진 큰 분자 결정은 팔면체, 정육면체, 사다리꼴입니다.연구팀은 이 분자 모형은 다른 물질을 ...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월드’에 따르면 매사추세츠공대(MIT) 요엘 핑크 교수팀은 지난 7월 “렌즈 대신 수많은 가닥의 특수 광섬유로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광섬유로 만든 카메라의 가장 큰 장점은 ‘렌즈 파손’이라는 치명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피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렌즈는 사람의 눈을 ...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과학동아 l2009년 10호
- 고리 부분이 잘려나가고 짧은 두 가닥만 남는다.두 가닥은 서로 갈라지면서 그 중 한 가닥이 단백질과 결합해 복합체를 형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성숙한 마이크로RNA다. 연구단은 실험을 통해 실제로 마이크로RNA가 연구단이 제시한 과정을 거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마이크로RNA와 단백질 복합체는 ... ...
- Part1. 면발 맛대결 기계 vs 손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반죽 위에 쓰윽 뿌렸다.이 주방장의 양손이 공중에서 만났다가 떨어질 때마다 점점 반죽 가닥이 얇아지고 개수는 2, 4, 8, 16 식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공중에서의 만남 몇 번 만에 면발이 완성됐다. 면을 높이 들고 사진 촬영에 응하던 이 주방장은 “수타면 반죽에는 물이 많이 들어가 이렇게 ... ...
- 마음을 울리는 청아한 소리 양금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소리를 크게 만들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굵은 줄 한 가닥을 쓸 때보다 얇은 줄여러 가닥을 쓸 때 더 맑은 소리가 나는 효과도 있다. 각 줄의 끝은 기타처럼 튜닝 핀에고정돼 있어 줄을 감거나 풀어 음을 조율할수 있다.양금은 2개의 괘를 중심으로 세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에서는‘황종( 鐘, ...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과학동아 l2009년 09호
- 높일 수 있다.이뿐이 아니다. 꼬불꼬불한 모양은 끓일 때 면을 자연스럽게 한 가닥 한 가닥씩 떼어 놓는 역할을 해 열과 수분이 쉽게 침투할 수 있게 돕는다. 그 덕분에 면 속에 있던 지방이 신속하게 빠져나오고 국물이 면에 골고루밴다. 특히 인스턴트 라면은 기름에 튀길 때 수분이 빠져나가 수많은 ... ...
- 생명의 책, DNA과학동아 l2009년 08호
- DNA를 확대해서 보면 두 가닥의 실이 나선형으로 꼬인 것을 볼 수 있는데, 나선형의 두 가닥 실 사이에는 서로 다른 네 가지 물질이 들어 있다. 이들이 바로 ‘염기(base)’다. 그 각각은 아데닌(A), 티민(T), 시토신(C), 구아닌(G)이며, 이들의 머리글자를 따서 A, T, C, G라고 표기한다.DNA에는 이들 네 가지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