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령"(으)로 총 1,0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개최에 앞서 출전팀이 훈련할 수 있도록 경기 규칙이 담긴 소프트웨어를 공개했다. 가령 팀별 포지션은 공격수(F) 2명, 수비수(D) 2명, 골키퍼(G) 1명으로 고정했다. 또 실제 축구팀에서 포지션별 선수들의 특징을 반영해 AI 공격수는 가볍고 빠르게 움직이도록, AI 수비수는 덩치가 크고 느리게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부릅니다. 뇌 신호를 기계에 연결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제어한다는 뜻입니다. 가령 환자의 뇌 신호를 휠체어나 로봇 의수 같은 기계에 보내고 이를 제어해 환자가 움직이도록 돕는 것입니다. 뇌-컴퓨터 접속기술은 어디까지 발전했나요?뇌-컴퓨터 접속기술 연구는 수십 년 전 쥐, 원숭이 등 동물을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음식량은 몸무게의 10% 미만이지만, 지렁이는 자기 몸무게만큼 먹고 전부 배출한다. 가령 무게가 2g인 실지렁이는 하루에 퇴비를 2g 생산한다. 실지렁이 1000마리면 하루에 2kg의 퇴비를 만들 수 있는 셈이다. 덕분에 지렁이는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사육하기에 적합하며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것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죠. 가령 큐비트 1개에서 발생한 오류를 처리하는데 큐비트 9개를 써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 선임연구원은 “큐비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처리하려면 고성능의 큐비트 제어 기술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대한 걱정이 끊이지 않았다고 했다. 실제로 당시에는 지금보다 안전사고가 많았다. 가령 1967년 우주 궤도에 오른 최초의 소유스 우주선인 소유스 1호는 귀환 시 낙하산이 펼쳐지지 않아 탑승한 러시아 우주인 블라디미르 카마로프가 목숨을 잃었다. 또 1971년 소유스 11호는 전 세계 최초로 살류트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DNA가 있는지 검색하는 것이다. DNA 수사의 가장 큰 강점은 DNA 자체의 높은 안정성에 있다. 가령 수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의 뼈에서 DNA를 찾아내 분석할 수 있고, 얼음 속 매머드의 DNA를 이용해 복제를 시도할 수 있다. 특히 STR 분석은 미생물이나 화염, 화학물질 등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거나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잃거나 많이 잃으면서 화합물을 만들 수 있고 안정한 상태도 유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 가령 일반적으로 지각에서 채취하는 철광석은 산화수가 +3인 산화철(Ⅲ)이다. 철광석을 우리가 사용하는 순수한 철로 만들기 위해서는, 산화철을 환원시켜 산화수를 0으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전자기기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리튬이온전지의 장점이 빛을 발하기 시작했다. 가령 전자기기를 작동시키는 데 니켈-금속수소 전지가 약 3개 필요했다면, 리튬이온전지는 1개만 있어도 충분했다.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쟁이 심해질수록 리튬이온전지 수요는 폭발적으로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심장근육세포의 상태 변화와 약물 반응성 등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가령 홀로그래피로 적혈구를 촬영해 위상정보를 복원한 뒤 입체 영상으로 만들었다. 이를 이용해 세포막의 운동성, 밀도는 물론 세포 내 수~수십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DNA와 단백질 분자들의 ... ...
- [영국유학일기] 악명 높은 난이도 낙제는 곧 퇴학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해야 했다. 보통 실험 수업이 많은 학과들이 강의 시간을 채우다 보니 종강도 늦어진다. 가령 화학과는 하루에 5시간을 실험 수업에 쓰고 있어서 강의를 3시간밖에 듣지 못한다. 종강이 늦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셈이다. 이렇게 1년 동안 배운 내용을 한 번에 몰아서 시험을 치르는 이유는 문제를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