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떤 점을 닮았을까? 자연 모사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만약 투명한 메탄올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면 사고를 막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요. 그러다가 나비의 날개에서 영감을 받아 조그맣고 부드러운 로봇을 만들었어요. 푸른빛을 띠는 모르포나비는 색소가 아니라 나비 날개의 독특한 표면 구조 때문에 푸른빛으로 보여요. 나비의 날개 표면을 ... ...
- 냠냠! 어수잼 ① 비요~! 나, 꿈속에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먼저 나무가 땅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해야 해. 두 직선이 만나서 이루는 각이 직각일 때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라고 해. 평평한 땅과 일자로 뻗은 나무에 그은 두 직선은 서로 수직이야.” 비요가 그림을 완성하자, 굽어 있던 네몽의 나무가 땅과 수직이 되었어요 ... ...
- [똥손 수학체험실] 픽셀 아트의 세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똥손 기자의 ‘픽셀 아트 전시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헬로 매스 지옥 선수촌’의 주인공 ‘수’는 물론, 푸른 하늘 아래 앉아있는 곰과 늑대도 있어요. 무엇보다 ... 해요. 단위넓이를 이용해 수의 눈 그림에서 검은 부분과 흰 부분의 넓이는 각각 어떻게 구할지 생각해 보세요 ... ...
- [논문탐독] 생명의 숲 속에서 세포라는 나무를 보다, 초고해상도 추적 이미징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지녔습니다. 하지만 이 창발성을 들여다보기 전엔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들을 하나씩 각각 관찰하는 환원주의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숲만 보면 놓치기 쉬운 나무 하나하나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생태계 연구에 필수적이듯, 조직의 경향성에 대한 연구는 단일 세포들의 특징을 분석하는 연구와 ... ...
-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수학동아 l2023년 08호
- 1. 세계적인 리더 수학자 양성 김영훈 소장에 따르면 ‘수학자가 수학계 리더로 자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리더는 본인 연구 분야에 돌파구 ... 나오면 좋겠습니다. 용어 설명* 모듈라이 공간 : 대수기하학의 연구 대상으로, 각각의 점이 어떤 공간의 원소와 대응하는 공간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경기과고 수학 절친 3인방, 수학을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동아리 활동이 각자에게 어떤 도움이 됐나요? 기범 : 서로 좋아하는 분야가 다르잖아요. 각 분야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지식 공유의 장이 될 수 있어서 좋아요. 동령 : 함께 떠들면 재밌는 이야기도 많이 나오고, 무엇보다 유익해요. 새로운 걸 발견하는 기회이기도 했고요. 공동연구를 하는 ... ...
- 냠냠! 어수잼 ④ 이제 표지판을 만들 차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모두 같고 네 각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이 정사각형인 거야!” “맞아! 네몽, 금세 사각형 박사가 됐는걸?” 비요가 칭찬하자, 네몽이 쑥스러워하며 대답했어요. “다 비요 네 덕분이야. 고마워! 너를 위해 커다란 꿀통을 준비했어.” 비요는 기쁜 마음으로 네몽의 선물을 받았어요. 네몽은 비요가 ...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성차의학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편견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2018년, 박 교수는 2022년 각각 서울대와 고려대 의과대학에 성차의학 강의를 개설했다. 김 교수는 2018년 성차의학 수업 첫 해, 수업을 들었던 서울의대 학생 중 하나가 “연구가 이거밖에 안 됐냐?”고 실망스럽게 되묻던 것을 유쾌하게 ... ...
- [과학사 극장] 오펜하이머가 원자폭탄을 만들었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그의 사고방식은 뼛속까지 물리학자이기도 했다. 오펜하이머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 생각할 때, 외부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오직 내재적 정합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갖고 있었다. 그는 원자폭탄 개발을 주도한 일에 대해 당시로서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기는 했지만 그것이 갖는 사회적 함의에 ... ...
- 최고의 교수진이 최고의 인재 기른다, KAIST 반도체시스템공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좋은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는 것이 좋은 교수진으로 구성된 학과라는 방증이라고 생각합니다.” 조 교수는 강조해 말했다. 그가 이토록 교수진을 강조하는 데는 그의 개인 경험도 반영돼 있었다.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학부생 시절 경종민 교수의 수업을 듣고 반도체 분야를 연구하겠다고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