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경계"(으)로 총 1,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생성되는 뮤온, 광자, 전자 등의 입자를 검출한다. CERN은 제네바 근처 스위스와 프랑스 경계에 자리 잡고 있다. 제네바 공항에서 차로 30분 정도 걸린다. CERN에 들어서면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엔리코 페르미, 막스 플랑크, 마리 퀴리처럼 유명한 물리학자들의 이름을 딴 표지판이 나오는데, 이름을 ... ...
- 예술가가 알고리듬을 공부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나날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팀랩은 “우리가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 수 있는 비결은 경계 없이 지식을 공유하기 때문”이라며, “점점 발전하는 알고리듬과 미디어 기술로 관객들이 전에 없던 경험을 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려고 노력한다”고 밝혔습니다. Q 뉴미디어아트에 빠진 이유가 뭔가요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나타난 새로운 얼굴들 중에 드론도 보여. 비행기는 원래 성층권과 대류권 경계를 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왜 성층권까지 올라온 거지? 직접 가서 물어보자! 24시간 비행의 벽을 깨라! 태양광 드론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술연구부 이융교 책임연구원 팀은 지난해 8월, 17km 높이의 성층권에서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라인 따라 요리조리! 내가 만드는 로봇, 라인 트레이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흡수하기 때문에 반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요. 이 원리로 로봇은 밝은 배경과 어두운 선의 경계를 파악해 길을 인식하고 움직인답니다. 외로운 섭섭박사님을 위해 이번 메이커스쿨에는 라인 트레이서를 만든 이승철 대표님이 함께했어요. 이 대표님은 “적외선을 이용해 로봇이 움직이는데, 그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방법은 입체도형을 전개도로 펼치는 거였어. 펼친 평면에서 직선을 그리고 다시 접으면 경계를 지나도 기울기가 변하지 않는 직선이 되거든. 하지만 여전히 문제가 남아있었어. 하나의 전개도에 여러 종류의 직선을 그리다 보면 모서리 바깥으로 나가 방향을 바꿔 그려야 하는 경우가 생겼어. ... ...
- [수학뉴스] 경계를 넘나든 수학자 2020 아벨상 수상!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상인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됐죠.유대인인 두 사람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 여러 분야의 경계를 넘나들며 훌륭한 연구 성과를 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퓌르스텐베르크 교수의 가족은 나치의 위협을 피하기 위해 1939년 미국으로 이주했고, 마르굴리스 교수는 유대인 출신이라는 이유로 러시아 내에 ... ...
- 도심에서 발견된 여우, 너의 정체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원 센터장은 “중요한 것은 여우가 사람을 경계하고 야생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한국에선 여우가 이미 멸종된 터라 연구원들이 직접 유럽이나 중국 등에서 훈련 과정을 견학해 우리 생태계에 적합하도록 개선했다”고 말했다. 방사는 ... ...
- [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나타나는 이 어스름은 개와 늑대를 구분할 수 없는, 낮도 밤도 아닌 애매모호한 시간의 경계라는 의미에서 ‘개와 늑대의 시간’으로 불리기도 한다. 박명은 상층 대기에서 태양 빛이 반사되거나 산란돼 지표면에 도달할 때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일몰 후 1시간 30분 정도 지나야 완전히 캄캄한 밤이 ...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틀을 벗어나면 새로운 게 보여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방식도 이공계 교육을 받으며 몸에 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기술 중심적 사고는 경계한다. 그는 “창업에서는 무엇보다 사람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며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파악하고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게 핵심”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술 창업을 꿈꾸는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않는다. 이런 블랙홀에는 물질과 빛이 안으로만 들어가며 밖으로 탈출할 수는 없는 경계인 ‘사건의 지평선(event horizon)’이 있다. 사건의 지평선 안쪽에서 일어난 정보는 외부에 전달될 수 없다. 블랙홀의 존재에 대해 이론적인 가능성만 제기되던 1992년 허블우주망원경은 강력한 거대 블랙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