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산"(으)로 총 5,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양자컴퓨터 만들 새로운 플랫폼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한 개의 처리 장치에서 여러 계산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기존의 컴퓨터로는 오래 걸리는 계산을 훨씬 빠르게 할 수 있다.양자컴퓨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양자컴퓨터의 기본단위인 큐비트를 구현하고 여러 개의 큐비트를 원하는대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큐비트는 외부 환경에 매우 예민해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초창기 수학자들은 ‘오일러 종수’라는 공식을 통해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를 계산한 값으로 곡면을 분류했습니다. 하지만 오일러 종수만으로는 모든 곡면을 완벽하게 분류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다 뫼비우스 띠라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등장했습니다. 뫼비우스 띠의 특징인 방향성으로 곡면을 ... ...
- [최신 이슈] 40년 만에 달라진 서울 지하철 노선도, 그 뒤에 인지과학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처음 마주했을 때 동그랗게 그려진 2호선이 먼저 눈에 들어왔을 것이다. 디자이너가 계산한대로다. 시선을 모으고 퍼뜨리는 노선도 속 숨은 장치시선의 흐름을 통제하는 디자이너의 마법은 인지과학에 그 뿌리를 둔다. 권 팀장은 “디자인은 물건을 예쁘게 만드는 과정이 아니라, 그 기능을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각 별에 대한 중력렌즈의 효과가 똑같다고 가정한 점도, 에렌델을 이룬 각 별의 성질을 계산할 때 오차를 일으킨 요인일 수 있다. 휘어진 시공간 속에 구상성단이 있다면?이번 관측에서 제임스 웹은 에렌델 주변의 선라이즈 아크 은하 곳곳에서 빛나는 어린 별 탄생의 흔적도 분석했다. 빅뱅 직후에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과학고등학교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물이나 글리세롤이 담긴 볼록한 그릇을 움직이며 초점을 확인하고, 빛과 렌즈의 거리를 계산하는 학생들의 진지한 토론이 곳곳에서 들렸다.수업을 진행한 정은석 물리교사에게 과학고 수업에 대해 물었다.Q. 경기북과학고는 경기도의 유일한 과학 분야 특목고로,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도 ... ...
- 주스, 목성까지 가는데 8년이 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끌어당기는 것이죠. 이를 극복하기 위해 ESA와 NASA는 목성 주변의 고에너지 입자의 세기를 계산하는 모델인 ‘JOSE’를 이용해 대비했어요. 이전에 목성을 탐사한 우주 탐사선의 데이터를 분석한 값과 지식을 합쳐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높였어요. 우리의 작업이 올바른지는 2031년 ... ...
- [Data Math] 뚫을 테면 뚫어 봐! 삼성전자 반도체 보안을 책임진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양자 내성 암호는 일반적인 컴퓨터로 계산할 땐 몇백 년이 걸리는 함수 계산을 하루 만에 계산하는 양자 컴퓨터에 대응하기 위해 만든 암호 알고리듬입니다. 격자 문제, 다변수함수, 해시함수 등을 기반으로 한 암호 알고리듬이지요. 2023년 8월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에서 양자 내성 암호 중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6개 행성(수금지화목토)의 태양과의 거리(궤도 긴반지름) a는 a=0.4+(0.3×2n)이란 수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금성의 n값은 0, 지구는 1, 화성은 2, 목성은 4, 토성은 5다.천문학자들은 n값이 3인 지점에도 행성이 있을 것이라 믿고, 한동안 탐색을 이어 나갔다. 하지만 그곳엔 찾던 행성은 없었고, ... ...
- [꿀꺽! 수학 한 입] 기호의 등장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사용하는 건 그렇게 오래 되지 않았단다.”“나는 사람들이 처음부터 기호를 써서 계산한 줄로만 알았어.”목소리가 대답했어.“곱셈을 나타내는 기호 ‘’, 나눗셈을 나타내는 기호 ‘’가 사용되기 시작한 건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 전쯤이야. 셈의 결과를 나타내는 등호 ‘=’는 466년 전에 ... ...
- 천재성이 빛났던 순간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사고 방식)와 창의력을 어떻게 키울 수 있는지 생각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천재란 계산 능력이 빠른 사람이 아닌 전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시도하고, 행동하고, 상상하는 고차원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아들이 직접 개발한 알고리듬으로 컴퓨터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