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브라운대, 마이애미대, 캐나다 토론토대,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등 국제공동연구팀이 은하에서 별이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했다. 직경 2m의 망원경으로 다중 주파수 관측이 가능했던 초창기 BLAST는 2005년에는 북반구에서, 2006년엔 남극 상공에서 각각 100시간, ... ...
- [이달의 뉴스] 태아는 완전한 무균 상태 ‘자궁 무균설’ 재확인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무균설’에 힘을 보탰다. 캐서린 케네디 캐나다 맥마스터대 박사후연구원이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은 태아에서 미생물군의 흔적을 발견했다는 2020년 이후 논문 4개를 검토한 결과, 모두 오류가 있었다고 ‘네이처’ 1월 25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2-05546-8 지난 100년간 태아가 사는 자궁은 ... ...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인간의 리더십은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구성원 각자의 욕구를 조율해서 공동체로 결합시키는 리더십의 고유한 속성만큼은, 인간과 동물의 리더십 간의 중요한 공통점이라는 점을 이 책은 강조한다. 진화생물학에서 형질은 피부색이나 키, 성격과 같이 생명체의 고유한 특징이다. 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러한 원리로 가능한 것이지요. 롤링페이퍼처럼 문서를 작성하는 일뿐 아니라 공동으로 사진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공유앨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원격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클라우드 게임 등도 있고요. 아예 하드디스크 대신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해서 모든 자료를 저장하는 사람들도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수학적으로 뒷받침한 것이 바로 이휘소의 논문들이었다. 그리고 1999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수상한 헤라르뒤스 엇호프트와 마르티뉘스 펠트만도 이휘소의 연구에 힘입어 자신들의 수학적 모형이 옳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살람과 엇호프트는 수상 소감에서 이휘소를 언급하며 고마움을 전했다.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커졌다. 보다 글로벌한 인간이 되고 싶다는 뜻이기도 했다. 기회는 곧 찾아왔다. 당시 공동연구를 하던 미국 하버드대의 바히드 타록 교수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게 됐다. 한국 학술진흥재단의 지원금을 받아 30대 초반이라는 다소 늦은 나이에 미국으로 향했다. 새로운 분야를 탐험하는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AI)의 판도를 바꿀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OpenAI는 일론 머스크와 샘 알트만이 공동 설립한 인공지능 연구소로 2020년 5월 ‘현존하는 최고의 자연어처리 AI’라고 평가받는 GPT-3를 개발했다. GPT 시리즈는 과거 하나의 일을 수행하고 그 성능만을 높이는 개별적 방식 벗어나 범용적인 성능을 ... ...
- [뉴스&인터뷰] 화석 없이 200만 년 전 그린란드를 복원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미래 그린란드의 모습과 닮았으리라는 추측 때문이다. 키에르 교수와 함께 논문의 공동 제1 저자인 미켈 페데르센 덴마크 룬드벡 재단 지질유전학 센터 교수는 “카프 쾨벤하운 층의 생태계는 현재 지구상의 어떤 생태계와도 다르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우리가 예상하는 미래의 그린란드 기후와 ... ...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수 있다. 희귀 혈액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이번 연구 프로젝트의 공동 수석연구원인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 혈액및이식팀 레베카 카디간 연구원은 “배양한 적혈구가 기증 적혈구보다 나은 성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며 “실제 수혈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수행해야 할 ... ...
- [뉴스&인터뷰] 3D 프린터, 우주 개척에 날개를 달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보낸 3D 프린터 Zero-G를 활용한 실험이 대표적이다. Zero-G는 NASA와 메이드인스페이스 사가 공동 제작했다. 우주는 중력이 거의 없는 미세중력 환경이다. 이런 환경에서 일반 폴리머 재료로 3D 프린팅을 하면 품질에 이상이 생기진 않을지 우려할 수 있다. 그러나 적층 공정과 그 일관성을 검사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