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중"(으)로 총 1,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과학일수록 아주 좁고 한정적인 분야에서 나온 연구 결과가 나중에 다양하고 많은 분야에서 쓰일 수도 있기 때문이죠.과학자로서 많은 것을 이루지 못하면 어쩌나, 혹여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면 어쩌나 하는 걱정은 안 하셔도 됩니다. 당장에 성과가 있든 없든 연구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훨씬 다양한 종류의 선충이 살아요. 우리나라에 사는 선충들의 유전체 정보를 모아 나중에 우리나라 선충의 계보도를 그려보고 싶어요! Q 잘 보이지도 않는데 어떻게 전국의 선충을 찾는 건가요?선충이 썩은 과일을 좋아하니, 주로 전국의 과수원이나 공원의 감나무를 찾아다녀요. 우리 ... ...
- [핫이슈] 정재승의 인간탐구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올 10월 초에는 맛있는 것을 먼저 먹는 행동과 나중에 먹는 행동이 감정 조절과 관련 있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또 올해 2월, IBS 신희섭 단장 연구진과 눈동자를 좌우로 움직이는 것이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PTSD)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혔답니다. ... ...
- [열혈가족] 올해 목표는 거미와 친해지기! 푸른누리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싶어요. 지금은 탐사에서 만난 생물들을 주로 그리며 짬짬이 캐릭터들을 만들고 있어요. 나중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사진 찍는 것도 관심을 갖고 있어요. Q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2학년 때부터 본 어과동은 저의 절친보다도 오래된 친구예요. 그래서 홈페이지에서 싸우거나 욕 ... ...
- [Go!Go!고고학자] 경주 고분을 외국인이 발굴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도착한 황태자는 금제 허리띠를 발굴하고, 이곳에서 발견된 금관을 직접 수습했지요. 나중에 이 무덤에는 황태자의 방문을 기념하여, 스웨덴의 한자식 표현인 ‘서전(瑞典)’의 ‘서’와 금관 봉황 장식의 ‘봉’을 따와 ‘서봉총’이라는 이름이 붙었답니다. 납작한 서봉총이 봉분을 ... ...
- [출동!기자단] 어과동 열혈독자 광고 촬영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촬영을 하면 영상이 단조롭기 때문에 카메라의 위치를 계속 바꿔가며 찍거든요. 나중에 이 영상들을 잘라서 이어붙이면 마치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을 한 것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답니다. 배경에 초록색 천을 대고 촬영을 하기도 했는데, 이 천은 ‘크로마키(chroma key) 천’이라고 불려요. ... ...
- [어과동 창간 15주년] 15년 동안 함께 한 홍승우 작가 인터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친구들도 저처럼 메모하는 습관을 길렀으면 좋겠어요. 지금부터 쌓아놓은 아이디어들은 나중에 튼실한 나무가 자라는 좋은 토양이 될 수 있을 거예요. Q 독자들에게 한 마디 해 주세요.친구들, 제 만화를 좋아해줘서 진심으로 고마워요. 사실 예전엔 이런 마음이 없었는데 15년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가 탐정 사무소를 찾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것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즉, 백신은 우리 면역체계에 인위적으로 항원을 기억시켜 나중에 같은 종류의 항원이 침입했을 때 빨리 이를 막도록 준비시키는 것이랍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따끔한 주사는 이제 그만! 붙이기만 해도 Ok! 따끔한 주삿바늘은 어른, 아이 구분 없이 공포의 대상인 ... ...
- [출동!반려동물] 동물 행동 훈련으로 반려견의 마음을 살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걸을 수 있도록 유도했지요. 차가 지나갈 때나 공사장 소리가 날 때에도 간식을 줬어요. 나중에 이런 것들에 놀라 사람을 공격하거나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예방하는 거예요. 산책을 모두 마치고 병원으로 돌아가려는데, 문제가 생겼어요. 두부가 병원까지 올라가는 계단을 좀처럼 오르려고 하지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참여한 김진하 친구는 “치약에서 실제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을 때 조금 놀랐다”며, “나중에 우리가 마시는 생수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는지 알아보고 싶다”며 소감을 말했어요. 도움신관우(서강대학교 화학과 교수), 조대연(서강대학과 화학과 석사과정), 구지영(서강대학교 화학과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