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복
d라이브러리
"
더없는 기쁨
"(으)로 총 25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잰걸음으로 프레세페성단 통과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화성관측을 통해 스스로 태양계 밖의 집단, 즉 먼하늘 물체중의 하나인 성단을 찾아보는
기쁨
을 누리기 바란다.■화성, 프레세페성단을 관통붉은 행성으로 잘 알려진 태양계의 네번째 행성인 화성이 이달 16일부터 20일 사이 게자리의 중앙에 위치하는 프레세페성단 앞을 통과해 간다. 화성이 ... ...
PART 1. 미·소 탐험 경쟁서 미국 주도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3백15일 뒤에 이루어진 우주비행이었지만, 미국인들을 크게 흥분시킨 사건이었다. 그
기쁨
에 비례하여 우주비행사였던 글렌은 미국인의 영웅이 되었다. 그는 미국에서 오랫동안 상원 의원을 하였으며,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기도 했다.1950년대 말부터 60년대 초까지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 경쟁은 ... ...
월드컵 - 축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대충 짐작할 만하다.무릇 축구 뿐만 아니라 모든 스포츠가 관람자에게 주는 최고의
기쁨
은 자신이 응원하는 팀이 이기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경기에 이겼을 때보다는 졌을 ... 는 등의 울분을 토로하는 이유도 바로 이기지 못한 경기에 대한 아쉬움과 회한이 승리의
기쁨
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하지만 여행에 익숙해지면서 태양계 내 행성의 관측여행에서 느끼지 못했던 보다 커다란
기쁨
과 만나게 될 것이다.초보관측자의 실망감붉은 장미꽃 모양이며 검은 말머리 모양 등 색색가지 아름다운 밤하늘의 모습을 담은 환상적인 천체사진을 많이 보아왔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사진으로 본 ... ...
백령도의 조류와 식물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절벽에 있는 것을 멀리서 보았을 뿐 이처럼 10-20m 전방에서 보기는 처음이라며 원교수는
기쁨
을 감추지 못했다.물개섬과 가까운 초소에서 1천2백㎜ 망원렌즈를 장착한 카메라를 통해 희한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수십 마리의 물범들이 물개바위에 벌렁 자빠진 채 휴식을 취하는 모습은 가관이었다 ... ...
인체시계는 하루가 25시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문제가 쏟아져 나온다. 이것이 탐구의 동기요, 이것을 해결하였을 때의 성취감이 탐구의
기쁨
인 것이다.지금까지 우리의 몸에는 생체개일시계가 어디엔가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았다. 과연 어디에 있을까. 참으로 궁금한 일이다. 계시원이 햇빛이기 때문에 빛을 감각하는 눈과 관계가 있음에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뜻이다. 한 꽃에서 수천 개의 씨가 나온다고 해서 유래 된 것이다.당일 꽃을 발견한
기쁨
에 어쩔 줄 모르는 사이 어느 새 땅거미가 지며 비가 내리기 시작해 다음 날 다시 오기로 ... 맞이했다. 얼마나 오랫동안 이 꽃을 보기 위해 애썼던가! 그 꽃과의 만남은 최대의
기쁨
이었다.내게는 아직도 보고 ... ...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보호운동을 펴기로 약속해 다행히 별 문제는 없을 것"이라며 이번에 개가를 올린
기쁨
을 아직도 감추지 못하고 있다.짝 잃고 죽어가던 두루미 되살려 한국조류보호협회는 또 지난 1월 굶어서 실신한 두루미를 45일 동안 치료한 후 북쪽 하늘에 날려 보내준 일을 지금도 들뜬 마음으로 기억하고 있다. ... ...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그러나 이들은 나비를 봄으로써 시를 읊고 노래할 수 있는 자극을 받는 것에 더욱
기쁨
을 느낀다고 한다. 나비는 비록 인간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곤충은 아니나 인간의 정감을 풍부하게 해주기 때문이다.사진을 좋아하는 사람 가운데도 생태계에 대해 훤히 아는 사람들이 많다. 꽃이 좋아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전에 명명된 식물임을 알곤 했다. 그러나 자신의 식물목록에 새로운 식물을 추가하는
기쁨
만은 남게 마련이었다.이렇게 모은 표본중에 지금은 거의 절멸상태에 있는 한라산의 암매를 비롯해 속리산의 등대시호, 월악산의 망개나무 등 채집에 따른 사연도 많다. 그 가운데서도 소중히 간직해 놓고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