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물기관"(으)로 총 1,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호주 북동쪽 그레이트배리어리프(Great Barrier Reef) 해양국립공원. 스쿠버다이빙을 이끌던 ‘다이브마스터’가 활짝 펼친 손바닥을 머리 위로 올렸다. 상어가 나타났다는 의미다. 주위를 둘러보니 길이가 족히 1m는 넘을 것 같은 상어가 헤엄쳐온다. 입에 문 레귤레이터(스쿠버다이빙용 호흡기)의 존재 ...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조류인플루엔자(AI)와 구제역. 지난해 11월 전북 고창을 시작으로 올해 1월 12일 기준 고병원성 AI 14건이 발생했다. 닭과 오리 159만 마리가 도살 처분됐다. 다행히 1월 20일 현재 구제역은 발생하지 않았다. 둘 다 바이러스가 옮기는 전염병이어서 백신은 한계가 있다. 예방이나 치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죄송해요. 아침인데, 그것도 사무실에서 시끄럽게….”“괜찮습니다. VR의 가장 큰 장점이 몰입감과 현장감이니까요.”서동일 볼레 크리에이티브 대표는 자주 겪는 일인 듯 웃으며 말했다. 그는 공포를 ‘보는’ 것과 VR로 ‘느끼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공포 영화는 사건이 TV 속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 같은 일은 짧게는 10여 년 사이에 현실이 될 수 있다. 심장이나 간, 대장과 소장, 췌장 등 몸속의 다양한 장기를 만들어 쓸 수 있는 세상이 다가오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장기 이식 수술을 받기 위해 다른 사람의 몸에서 건강한 장기를 떼어 와야 한다. 적합한 도너(장기제공자)가 나타날 때까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1452년 4월 15일 이탈리아 피렌체 근교의 빈치라는 마을에서 태어났다. 서자의 신분으로 태어나 공증인이었던 아버지의 성과 직업을 물려받지는 못했지만, 아버지는 그의 자질을 알아차리고 그를 피렌체에서 가장 번성한 공방에 입문시켰다. 그런 그가 본격적으로 이름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겨울에도 초록빛을 잃지 않는 식물들이 있어요. 소나무과 식물과 나무나 바위에 붙어 사는 석송과 식물들이 대표적이죠. 그중에서도 동물을 닮은 식물이 있어요. 바로 ‘다람쥐꼬리’예요. 다람쥐꼬리의 생김새를 보면 바로 이름의 뜻을 이해할 수 있어요. 줄기에 뾰족뾰족 잎이 돋아나 있는데, 그 ... ...
- [가상인터뷰] 겨울에 작아졌다가 봄에 다시 자라는 동물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친구들 안녕! 나는 지난 여름에 새 친구가 된 ‘첨서’의 집에 놀러왔어. 그동안 먹이 찾느라 바쁘다며 나를 만나 주지 않는 바람에 추운 겨울이 다 되어서야 다시 보게 됐지. 그런데 오랜만에 봐서 그런가? 첨서가 조금 작아진 것 같은데…. 내 기분 탓일까? 알리: 안녕! 자기소개를 부탁해!첨서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독특한 부리로 먹이를 먹는 홍학!동물원에서 홍학이 먹이를 먹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홍학은 부리를 물속에 거꾸로 넣어 먹이를 찾아요. 혀와 턱을 빠르게 움직여서 물을 빨아들이고, 물속의 갑각류와 남조류 등을 걸러 먹는답니다. 홍학이 이렇게 먹이를 먹을 수 있는 건 독특한 부리 덕분이 ...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지난 9월 ‘제63회 전국과학전람회’에서 대원들이 특상을 받았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어요! ‘전국과학전람회’는 올해에만 6000여 명이 참가할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역사가 오래된 과학탐구 대회랍니다. 평소 로 내공을 쌓아온 대원들이 ... ...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중생대에 살았던 공룡들은 그 종류만큼이나 먹잇감도 다양했어요. 그중에서도 바리오닉스는 물고기를 사냥해 먹고 살았다고 알려져 있지요. 그 이유는 사냥에 적합한 날카로운 발톱과 악어를 닮은 긴 주둥이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이러한 신체적 특징이 사냥 말고 다른 일에도 쓰였다는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