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이러스"(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기 우주의 블랙홀 및 은하의 생성과정을 연구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제출의 마감일은 4~5월입니다. 관측 천문학자들이 가장 바쁜 시기죠. 그런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진행이 지연됐고, 지난해 8월에서야 공고가 나왔습니다. 천문학자들은 연구 배경과 목표를 비롯해 이 연구가 왜 중요한지, 제안된 관측이 천문학 분야의 난제를 푸는 데 어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나의 첫 반려 로봇?! 보행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로봇 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에서 개발한 로봇 개 ‘스팟(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자를 검사하는 의료진을 도와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기도 했어요. 네 발이 아니라 두 발로 걷는 2족 보행 로봇 연구도 진행되고 있어요. 미국의 기업 애질리티 로보틱스는 2족 보행 로봇 ‘캐시’가 계단을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대변이나 구토물을 통해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접촉해도 전염될 수 있답니다.노로바이러스에 걸리면 1~2일의 잠복기를 거치고 이후 구토나 설사, 발열,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요. 예방법은 어패류는 완전히 익혀 먹고 손을 깨끗이 씻으며, 감염 환자와의 접촉을 줄이는 거랍니다. 싱크홀(sink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예산은 10조 원으로 불어났다. 그러나 끝이 아니었다. 누구도 예상치 못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인 유행으로 연구가 늦어졌다. JWST 발사는 올해 3월에서 10월로, 다시 12월로, 한 해에만 3차례 미뤄졌다. 수차례 고비 끝에 지난 10월 12일, 마침내 JWST는 미국 캘리포니아 ... ...
- 현실과 가상을 잇는 관문에 서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BTS와 콜드플레이가 직접 만나서 해당 뮤직비디오를 촬영할 계획이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이들이 한곳에 모일 수 없게 됐다”며 “점프스튜디오에서 각 멤버의 모습을 촬영해 영국으로 보냈고, 디지털 공간에서 콜드플레이와 만나 뮤직비디오를 완성할 수 있었다”고 ... ...
- [특집] 식중독 악당들의 정체를 공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포장 제품 등. 특징 바이러스 중 우리나라 식중독 환자를 가장 많이 만들어낸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하는 경우뿐 아니라, 감염자가 만진 수도꼭지, 문고리로도 감염될 정도로 전파력이 강하다. 소독약으로도 사라지지 않는다.원인식품 생굴 등 어패류. 특징 20~37℃에서는 3~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은 자전거를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색소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결합하지 않도록 하는 약물을 투여해 바이러스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어요. 에필로그 “멍의 색깔에 따라 알맞은 방법을 사용하면 금방 멍이 없어질 거예요! 행운을 빌어요.”꿀록 탐정이 눈을 ... ...
- [에디터노트] 인류를 위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건이 당일 갑작스러운 사정으로 연기됐습니다. 5일에는 과학동아 편집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예방 차원에서 팀원 모두가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자가격리를 했습니다. 12일에는 강연자가 강연 15분 전 극심한 고통을 호소해 응급실에 갔고, 결국 입원까지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사람들은 더 깨끗한 음식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가축의 경우 사육하면서 구제역 등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고 도축 시에도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오염될 위험이 있다. 반면 배양육은 외부 환경에 노출되지 않으니 오염 위험이 적고, 인플루엔자 백신과 같은 값비싼 예방접종도 필요 없다.하지만 ... ...
- [과학뉴스] 동의없는 ‘불멸 세포’ 채취 유가족, 생명공학 회사 제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개발, 체외 수정,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연구까지 숱한 생명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하지만 유가족은 랙스에게서 세포를 채취한 지 20여 년이 지난 1975년 경까지 헬라 세포의 존재조차 몰랐다. 유가족은 이번 소송에서 써모 피셔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