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식물
부식 상태
용식
주입
감화
부식품
소작
d라이브러리
"
부식
"(으)로 총 35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해저에 시설하는 케이블 이러한 해저 케이블은 해저의 높은 수압이나 바닷물에 의한
부식
에서 보호하고 부설수리공사 같은 외적 작용에 견딜 수 있도록 일반 육상 케이블과는 다른 재료 · 구조가 요구된다 독일의 자연과학사가(史家) F 다네만의 저서 l920~23년에 간행되었다전4권 원제는 《Die ... ...
광섬유 한가닥으로 다리 안전 진단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곳에서도 센서의 측정값을 금방 얻을 수 있다. 이밖에 전자기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식
과 같은 환경적 영향에 강하고 매우 높은 해상도를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실제로 연구실에서 개발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발했던 로켓 KSR3의 연료 탱크를 시험하는데 적용하기도 ... ...
얼음과 소금으로 온도 내리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얼음과 소금이 만나면 영하 10℃ 이하로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를 이용해 냉장고 없이도 슬러시를 만들어볼 수 있다.얼음붙이기■ 왜 그럴까?!얼음과 소 ... 강력한 제설제를 쓰고 있다. 이 염화칼슘은 눈 녹은 물에 녹아 있다가 지나가는 차에 묻어
부식
을 촉진시키는 악역을 하기도 한다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맨아래층에, 양적으로 많이 섭취해야 하는 식물성 식품인 채소와 과일류가 둘째층에,
부식
으로 섭취되는 동물성 식품들이 세번째층에, 섭취량은 적지만 칼슘의 섭취를 위해 중요한 우유와 유제품이 네번째층에 위치하고 있다. 유지, 견과 및 당류는 농축 열량원이므로 가장 작은 윗층에 위치하고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발굴하기 위해 개방할 경우 내부 부장품들이 산화돼 손상된다. 따라서 산화로 인한
부식
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 신기술이 나오기 전까지는 그대로 덮어둬야 한다. 결국 중국 정부는 출토한 유물을 훼손하지 않고 과학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때까지 진시황릉뿐 아니라 중국 전역에 ... ...
달라붙지 않는 프라이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필요했다. 그러나 Hex는 유기물질을 맹렬히 공격하기 때문에 어떤 재료도 이 위험한
부식
성 가스에 견딜 수가 없었다. 한마디로 원자폭탄 제조에 큰 구멍이 뚫린 것이다.원자폭탄 제조에 활용된 테플론원자폭탄 제조가 엉뚱한 문제로 난관에 처해있을 때, 원자폭탄 계획 책임자인 그로브즈 장군은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도입됐다. 우선 조수간만의 차가 9.3m에 달하는 아산만의 특성상, 염분이 침투해 철근의
부식
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가능성을 차단하고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특수한 내염시멘트와 에폭시코팅철근을 사용했다. 또 콘크리트 표면에 염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내염도장 처리를 해 구조물의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원폭용 우라늄235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의 하나로서 6불화우라늄이라는 위험한
부식
성 가스에도 끄떡없는 재료가 필요하게 됐는데, 바로 이 용도로 테플론이 사용된 것이다. 이 물질은 예상대로 우라늄 화합물에도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았고, 원폭 개발팀은 원하던 우라늄235를 추출할 수 ... ...
노벨상 관련 사이트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나타 촉매 작용으로 합성이 가능해진 플라스틱 종류 정보와 가볍고 방수성이 있으며
부식
성이 없는 덕분에 응용 가능한 산업분야 소개.불소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http://www.king.igs.net/~rogersk/fluorine.htm불소의 유익성과 유해성 이야기.화학감각 웹페이지http://www.csa.com/crw /home.html미각 ...
방사능 위험안고 해저 누비는 핵잠수함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없는 상황에서 쿠르스크호 원자로를 바다 속에 그대로 방치한다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부식
으로 인한 방사성물질의 누출 가능성은 커져만 갈 것이다. 따라서 그대로 방치해둘 수는 없다.따라서 현재 쿠르스크호를 빠른 시일 안에 처리해야 하는데, 이것에 대해 몇가지 안이 제시됐다. 먼저 육지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