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주식은 풀, 간식은 고기? 뇌로 밝힌 테코돈토사우루스 생활사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족보행 공룡이라는 사실을 뒷받침한다.편엽은 목과 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부위
기도 하다. 연구팀은 편엽이 발달한 테코돈토사우루스가 빠르게 달리면서도 목과 눈의 움직임을 잘 조절해 물체를 놓치지 않고 바라보는 능력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그동안 초식 공룡으로 알려진 ... ...
코로나19 3차 유행 백신을 확보하라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유전물질을 일부 제거하고 이 자리에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항원(스파이크 단백질)
부위
의 유전자를 넣어 백신을 만들었다. 백신을 접종하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항원이 만들어지며 체내에 항원을 인식하는 항체가 만들어져 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화이자와 모더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바이러스의 단백질 구조를 음악으로 표현하면 항체나 약물이 결합할 수 있는 단백질
부위
를 보다 직관적이고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이처럼 과학 연구에 음악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번 과학×음악 콘서트처럼 음악에 수학·과학적 아이디어를 접목할 수도 있습니다. 콘서트는 수학의 프랙털,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얼굴 비율을 계산하라 ➌ 블록 이해하기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웹캠에 찍히는 얼굴의 각
부위
에 원 오브젝트가 나타나요. 그리고 화면 속 엔트리봇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엔트리봇이 ‘가로 비율값’과 ‘세로 비율값’을 알려줘요. 각 원 오브젝트에는 ①와 비슷한 형식의 블록이 있어요. ‘위치로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화석, 항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뜻이죠. 항체는 특정 항원에만 1:1로 대응해요. 그래서 둘은 자물쇠와 열쇠처럼 서로 결합
부위
가 딱 맞는 특이성을 갖는답니다.병원에서 맞는 예방주사는 면역세포의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백신이에요. 백신은 몸에 약하게 만든 병원체를 넣어 같은 병원체가 침입했을 때 이를 기억했다가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확인하고 서둘러 날개를 제거했다. 날개를 구성하는 모든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어깨
부위
에서 근육을 절개했다. 이때 혈관과 신경을 피해 근육을 잘라내야 한다. 어깨 관절에서 상완골을 분리하며 수술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날개가 없다는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독수리는 한동안은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이런 소의 행동을 매번 눈으로 확인하기는 힘들다. 이때 다리의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부위
에 장치를 채워두면 평소 움직임과 비교해서 소의 번식기를 쉽게 알 수 있다. 이스라엘의 낙농 기자재업체 아피밀크는 이런 기술을 이용해 발찌를 만들었고, 소의 발걸음을 측정해서 가임기 등의 정보를 ... ...
[특집] 세상에 나쁜 턱수염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4호
잘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싸울 때 턱이 가장 흔하게 골절되는
부위
이고, 다치면 후유증도 심하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턱을 보호하기 위해 턱수염이 나기 시작했을 것이라고 가정했지요.연구팀은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벽돌로 인간 두개골과 비슷한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3호
운동이나 무리하게 활동해 근육의 피로가 쌓이면 쥐가 나요. 또한 긴장했을 때에도 신체
부위
에 쥐가 날 수 있어요.이 외에도 신경세포의 장애나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지며 생기는 덩어리인 혈전 등의 이유로 다리에 쥐가 나곤 해요. 비행기를 타는 동안 좁고 불편한 자세로 의자에 오래 앉아 다리가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화려한 색깔이 나를 감싸네, 신기한 셀로판지 실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22호
작은 분자들만 인지질을 통과할 수 있지요. 또 전기를 띠는 물질은 인지질의 소수성
부위
와 성질이 달라서 통과하지 못해요.그렇다면 인지질을 통과하지 못하는 물질을 세포 안으로 들여보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나트륨(Na+)과 칼륨(K+) 이온은 신경 세포가 신호를 전달할 때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