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꽃
파생
화염
폭발
d라이브러리
"
분화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소리를 지배한 파충류, 지구를 접수하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공룡 같은, 지구 역사상 가장 큰 육상 동물이 나타났다. 하늘을 나는 두 계통의 생물로도
분화
했다. 새와, 프테로사우루스 같은 익룡이다. 프테로사우루스는 ‘하늘을 지배한 파충류’로 꼽힐 만큼 성공적으로 번성했다.놀랍게도 지배파충류가 등장하기 이전에 이미 귀에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던 ... ...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흉터가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했다. 리프로그래밍은 체세포 등이 다른 세포로
분화
할 수 있는 줄기세포로 되돌아가는 특성이다. 근섬유아세포는 흉터를 만드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로 지금까지 포유류의 피부에서 이런 현상이 발견된 적은 없었다.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은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이렇게 만들어진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즉 iPS세포는 어떤 세포로든
분화
할 수 있었습니다. 수립과정에 여성의 난자도 필요 없어 윤리적인 문제로부터 자유로웠죠. iPS세포는 발표된 지 6년 만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습니다. 서론이 길었는데요. iPS세포 분야는 일본이 ‘꽉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수각류 공룡은 이후 1000만~1500만 년 동안 ‘진화 빅뱅’을 거쳐 1만 종이 넘는 조류로
분화
했다. 그 과정에서 야생 닭의 조상 격인 ‘적색야계(멧닭·Gallus Gallus)’가 약 3000만 년 전에 탄생했다. 적색야계는 목 아래와 몸통 부분은 붉지만 꼬리로 갈수록 검은 깃털을 가진 새다. 특히 적색야계 수컷의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3호
빨간 물감으로 물들인 식초를 붓자, 빨간 식초가 진짜 용암처럼 부글부글 끓어오르며
분화
구에서 솟구쳤어요.실험에 참가한 오윤슬(성남 늘푸른초 1) 친구는 “화산모형을 만들어보니 화산이 폭발하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고 말했어요.실험이 모두 끝난 뒤엔 커다란 화산을 직접 만들어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냈다. 프로젝트 이름은 ‘엄마(Ultra Deep Monitoring for Magma Activity, UMMA)’다. 만약 성공하면
분화
할 가능성이 높은 대형 화산의 땅 속 마그마가 있는 깊이까지 구멍을 뚫은 최초의 사례가 된다.다행히 외국의 저명한 화산학자들도 백두산 연구에 관심이 많다. 백두산의 학술적 특수성 때문이다. 화산은 세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일어나는 각종 현상을 꾸준히 관찰하고 있다.윤 교수는 우리나라도 국가 차원의 화산
분화
예측 및 재해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30~40년 동안 휴면상태였던 화산이 활동을 재개할 땐 24~72시간 전에는 전조현상이 나타난다”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화산 재해 예측도를 ... ...
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큰 분출을 일으켰고, 폭발 주기가 약 100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백두산의 마지막
분화
는 1903년.어쩌면 임박했을지 모르는 다음 폭발에 대비해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백두산 폭발 대해부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Part 2. 백두산 최신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만들어지면서 백두산의 폭발력을 높였다는 가설이 있다.H 화산 지진2002~2005년 백두산이
분화
징후를 보이면서 한 달에 수십~수백 번씩 지진이 관측됐다. 마그마가 뚫고 올라오는 화도의 길목으로 추정된다. 지하 5km 지점에 마그마가 액체 상태로 모여 있는 마그마 통로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나,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전 소방방재청)에서 맡았다. 2018년까지 백두산은 물론 동북아시아 지역의 화산
분화
에 대비한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변수 1. 규모 7.0의 핵실험북한은 2006년 10월 9일부터 올해 9월 9일까지 다섯 차례 핵실험을 했다. 그 결과로 리히터 규모로 3.9~5.0(기상청 분석)의 인공지진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