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상상태
사건
사고
위급
비범
날기
비행
d라이브러리
"
비상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즐탐정 썰렁홈즈] 징글랜드 동물원장 ‘믈리니 마이아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학생 5만 명이 단체로 온다고?”특이한 동물이 가득하기로 유명한 놀이공원 징글랜드에
비상
이 걸렸다.주말에 학생 5만 명이 단체로 방문한다는 사실. 하지만 지금 동물원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었다. 동물원을 책임지고 있는 동물원장 ‘믈리니 마이아파’는 서둘러 썰렁홈즈에게 도움을 청했다 ... ...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하는 규칙을 어겼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국토부와 아시아나항공 측은 90초 규칙이
비상
사태 발생부터 90초인지 기장의 탈출 명령으로부터 90초인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 ...
대결! 놀라운 생체모방 마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이 우산은 식물을 흉내 내 만들었어. 나뭇잎처럼 햇빛을 모아 전기를 만든단다. 대단하지?
비상
시 사용할 수 있는 ‘낙하산우산’단풍나무 씨앗이나 민들레 씨앗을 닮은 낙하산우산이 있다면 높은 곳에서 뛰어내려도 빙글빙글 안전하게 내려올 수 있겠죠? 유럽우주국 과학자들은 단풍나무씨앗처럼 ... ...
러시아에 쏟아진 ‘운석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외계인이 공격을 시작했다고요!”한창 마감 중이던 ‘어린이과학동아’ 편집부에
비상
이 걸렸다. TV를 켜 보니 정말 하늘에서 뭔가 떨어지고 있는 게 아닌가. 마치 영화 트랜스포머에서 오토봇이 지구에 도착할 때와 똑같은 장면이 일어나고 있었다.“안 되겠어. 이번엔 내가 직접 나서겠어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미국에서는 독감이 유행해 사망자수가 100명을 넘어섰어요(2월 기준). 따라서 독감 예방에
비상
이 걸렸죠. 그런데 독감이 유행할 거라는 사실을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보다 먼저 알아 낸 곳이 있어요. 바로 검색 사이트로 유명한 구글이에요.구글은 어떻게 독감이 유행할 걸 알아 냈을까요? 그 방법은 ... ...
[화보] 디자인, 기하학으로 진화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닮은 임시 통신 시설플롯 베이스 스테이션(Float Base Station)은 재난시 쓸 수 있는 임시
비상
통신 시설로, 공중에 떠다니도록 디자인 됐다. 공중에 투하된 플롯 베이스 스테이션의 포장이 풀어지면 꼭대기의 풍선이 부풀어 오른다. 이렇게 하늘에 올라간 수신기는 통신 신호를 받아들이고 전송할 수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도착하자 동체 화물칸에 대기중이던 중소형 전동 무인기를 발진한다. 중소형 무인기는
비상
식량이나 방독면 등이 필요한 지역 상공을 날아다니며 긴급 구호품을 내려준다.대형 건물이 무너진 곳을 발견한 중소형 무인기는 또다시 내부에 탑재한 초소형 무인기를 출동시킨다. 이때부터는 초소형 ... ...
1화 수학 가디언즈, 첫 시공간 여행 출발!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없어! 폴, 어서…!”미션 ❷ 위기에 빠지다“좌표 수정에 실패하였습니다. 현재 좌표로
비상
착륙하겠습니다.”폴과 폴리스, 피타가 어떻게 해 볼 사이도 없이 모니터의 문제는 사라지고 좌표를 수정하는 데 실패하고 만다. 그러자 바로 우주선 안에 기계음이 냉정하게 울려 퍼졌다. 이어 우주선이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인간과 친해지길 바라~! 허당 몬스터들의 천국 몬스터 호텔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인간 손님이 찾아왔다!
비상
!” 듣기만 해도 무시무시한 드라큘라, 프랑켄슈타인, 늑대인간, 미라가 한자리에 모였다?! 드라큘라의 고향 루마니아 트란실베니아에 인간들에게 방해받고 싶지 않는 몬스터들의 안식처가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무시무시한 몬스터가 아닌, 오히려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TBM)’라는 보다 적극적인 이름을 붙였다.논란에 휩싸인 RNA 자체변이이 현상은 곧 학계의
비상
한 관심을 받았다(박스 기사 참조).이것은 ‘RNA 자체 변이’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이 실험적으로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이 현상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사람들은 실험을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